쇠약감·피로·근 경련·체중 감소·구역질·심한 구토 등의 증상
간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간경변증(간경화)은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합병증이 나타난 후에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한 번 손상되면 돌이킬 수 없고 장기적으로 간암 발생의 위험을 크게 높여 예방과 조기 진단이 필수입니다.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간이 딱딱해지는 섬유화가 발생해 간이 울퉁불퉁해진 상태를 말합니다.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고, 병이 진행되고 나서야 쇠약감, 피로, 근경련, 체중 감소나 구역, 심한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는 이미 간경변증이 악화해 원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간경변증은 그 자체보다 황달, 복수, 위식도 정맥류와 출혈, 간성혼수 등 합병증이 문제입니다.
가장 무서운 합병증 중 하나가 위식도 정맥류입니다.
정영걸 고려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으로 흘러가야 할 혈류가 제대로 간을 통과하지 못하고 간문맥 혈관의 압력이 높아져 비장이 붓고, 위와 식도의 정맥들이 팽창한다"며 "이후 혈관이 파열되면 대량의 피를 토하거나 혈변을 보게 되는데, 그 자체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질환"이라고 말했습니다.
간경변증의 주원인 중 B형 간염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 C형 간염도 간경변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꼽힙니다.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겨 면역세포가 정상적인 간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간 질환, 비만이나 당뇨병, 고지혈증으로 인한 비알콜성 지방간도 간경변증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병원에서 간경변증을 진단할 때 과거 병력을 확인하고 혈액, 초음파,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뤄집니다.
섬유화 정도를 확인하려면 조직 검사가 원칙이지만 출혈과 감염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간 탄성도 검사'를 통해 통증과 출혈 없이 간 섬유화 진행 단계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한번 굳어진 간을 되돌리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간경변증 치료는 섬유화의 진행을 막고, 간 기능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데 초점이 맞춰진다.
만성 B형 간염과 만성 C형 간염의 경우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고 금주와 함께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대게 비만과 관련이 있어 체중 조절도 필요하다. 합병증의 정도가 심해 생명을 위협할 수준이라면 최후의 수단으로 간 이식을 고려하게 됩니다.
정 교수는 "간경변증은 완치의 개념이 없는 만성 질환이면서 장기적으로는 간암 발생의 위험도를 현저히 증가시켜 예방과 조기진단이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특히 간 질환의 경우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건강보조식품 남용이 만연한데 대부분 독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자제해야 하고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장기간 치료와 관리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오은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oheunchae_pres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