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여성들이 임신 예방하려고 흔히 먹는 '이 약'…우울증 위험 130% 높였다
입력 2023-06-16 10:21  | 수정 2023-06-16 22:33
사진=게티이미지

임신을 예방하고 난소암과 자궁암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피임약.

그러나 피임약 복용이 우울증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를 바탕으로 25만 명 이상 여성을 출생부터 폐경까지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들의 피임약 사용 여부, 우울증을 처음 진단받은 시기, 공식 우울증 진단을 받지 못했어도 우울증 증상을 경험하기 시작한 시기 등을 조사했습니다.


이때 대상자들이 복용한 피임약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모두 함유된 '복합 피임약'이었습니다.

조사 결과, 성인이 돼 피임약을 처음 복용하기 시작한 여성은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92% 높았고, 10대부터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은 우울증 발병률이 무려 130%나 높았습니다.

피임약이 왜 우울증 위험을 높이는지 명확히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여성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일으켜 감정 처리와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정합니다.

연구팀은 "피임약이 여성에게 임신을 예방하고 난소암과 자궁암 위험을 줄이는 등 여러 이점을 가져다주지만, 부작용에 대해서도 확실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며 "특히 의료진이 피임약을 처방할 때 복용 시 우울증이 생길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2019년에도 10대에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은 성인이 됐을 때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3배로 높다는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역학 및 정신과학(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에 지난 12일 발표됐다.

[오은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oheunchae_press@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