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군, 북한 '우주발사체' 잔해 인양...사진 속 선명한 '천마'
입력 2023-06-16 10:12  | 수정 2023-06-16 10:22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잔해 인양 성공...추락 보름만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16일) "우리 군은 6월 15일 오후 8시 50분쯤 '북 주장 우주발사체'의 일부를 인양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인양된 물체는 추후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기관에서 정밀 분석할 예정"이라며 "우리 군은 추가 잔해물 탐색을 위한 작전을 지속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인양한 잔해는 3단 로켓인 천리마 1형의 2단부로 추정되며 직경 2.5m, 길이 15m에 달합니다.

원통형 잔해 표면에는 '천마'라는 글자와 함께 하늘을 나는 말의 모습을 형상화한 마크가 확인됐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했습니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하고 가라앉지 않도록 노란색 리프트 백(Lift Bag)을 묶어뒀습니다.


그러나 인양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사체 잔해는 무거운 중량으로 인양 장구에서 이탈, 수심 75m 해저에 완전히 가라앉았습니다.

이후 군은 3천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 3천200t급 잠수함구조함(ASR) 청해진함을 포함해 항공기와 전투함, 해군 해난구조전대(SSU) 심해 잠수사를 투입해 인양 작전을 펼친 끝에 15일 만에 잔해 수거에 성공했습니다.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군은 잔해를 평택 2함대 사령부로 이송했으며, 천리마 1형의 전반적인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천리마 1형에 탑재된 북한의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군 당국은 오늘 오후 잔해를 언론에 공개하고, 한미 공동으로 정밀 조사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이승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eungjilee@kakao.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