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피하라' 경보 울리면 어디로 가나?…국회의원은 서울 떠나 대전으로
입력 2023-06-01 18:03  | 수정 2023-06-01 18:08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가 어제(31일) 남쪽으로 발사된 뒤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공습경보가 내려지자 급히 대피소로 몸을 피한 주민들. 2023.5.31. /사진=백령도 심효신 통신원 제공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따라 '대피하라'는 경계 경보가 발령됐지만 대피 장소에 대한 안내가 없어 '부실한 재난 대응'이라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실제 경계 경보가 발령되면 시민들은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 '안전디딤돌' 애플리케이션, 소방방재청 지침 등을 보면 고층 건물의 지하 2층 이하, 지하철, 가능하면 지하철 중 연결역사, 각 지역에서 지정한 대피장소 등이라고 안내돼 있습니다.

국회의원들의 경우는 다른 대피소가 마련돼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1일) BBS불교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긴급 시 국회의원 대피처'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허 의원은 전날 서울시의 경계경보 발령에 따른 여러 혼란과 관련해 "왜 경계 경보였는지, 어디로 대피해야 되는지에 대한 얘기를 해 줘야 됐는데 그러지 못했다"며 "대피해야 되는 장소가 없으니까 정말 허둥지둥거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비상시 의원들은) 대전으로 내려가야 된다는 그런 매뉴얼(지침)이 있는 것 같더라"며 긴급 상황 시 국회의원들은 서울을 떠나 대전 모처 대피소로 모인다는 사실을 얼떨결에 털어놓았습니다.

국회의사당 지하에도 대피소가 마련돼있지만, 위급 상황 시 국회의원들은 대전의 안전지대로 이동해 국가 존속에 필요한 임무를 이어가도록 설계돼 있다는 겁니다.

전날 서울시는 오전 6시 41분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발송했습니다.

시민들은 긴장감 속에 상황을 확인하려 온라인에 접속하면서 네이버 모바일 버전이 한때 마비되기도 했습니다.

22분 뒤에는 행안부가 '오전 6시 41분 서울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는 문자를 하나 더 보냈습니다.

이후 서울시는 '행안부 지침에 따른 것이다. 오발령은 아니지만 혼선을 끼쳐 송구하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서울시 '경계경보 발령', 행안부 '오발령 안내', 서울시 '경계경보 해제'가 차례로 이어지면서 당국이 엇박자를 낸 데다 대피를 알리는 안내 역시 허술하고 빠르지도 못해 여론의 질타를 받았습니다.

[오은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oheunchae_press@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