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부의 대물림' 유명한 일본서 '32세, 자산 1조' 자수성가 억만장자 탄생
입력 2023-05-16 15:17  | 수정 2023-05-16 15:25
일본의 32세 억만장자, 사가미 슌사쿠/사진=Forbes

정치·경제 분야에서 세습·대물림이 많은 편인 일본에서 부의 대물림 아닌 자수성가형 32살 억만장자가 탄생해 화제입니다.

이 억만장자의 성공 비결은 초고령화 사회에서 명맥이 끊길 중소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중개하는 것입니다.

15일(현지시간) 포브스와 블룸버그 등 외신은 슌사쿠 사가미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 설립자의 순자산이 약 9억5000만달러(약 1조2700억원)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해 6월 도쿄증시에 상장한 후 주가가 300%까지 뛰었습니다.


이 회사의 지분을 72.4%를 보유한 사가미는 일본 내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2018년 사가미가 설립한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AI로 기업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인수합병(M&A)을 중개합니다.

주 대상은 창업자들이 고령으로 은퇴를 앞둔 매출 5억엔 내외의 알짜 중소기업들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M&A는 500여 건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지난 3월까지 6개월 동안 62건의 거래를 성사했습니다.

이 기간 매출은 39억엔(38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초고령화 사회인 일본에선 기업을 뒤이을 후계자가 없어 폐업 위기에 처한 곳이 많습니다.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에 따르면 일본에서 수익성이 높은 기업 62만개가 후계자가 없어 문을 닫을 처지입니다.

일본 정부 또한 초고령화 사회를 심각한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같은 문제로 폐업 위기에 처한 기업들이 더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정부는 2025년까지 소유주가 70세 이상인 중소기업이 250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중 절반은 회사를 대신 이끌어갈 후계자가 없습니다.

이들이 모두 문을 닫으면 총 65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일본 국내총생산(GDP)은 22조엔(216조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관측됩니다.

사가미는 초고령화에 따른 기업의 존폐 문제를 사업 아이템으로 삼았습니다.

1990년생인 사가미는 은행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M&A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M&A 담당자들이 통상 은행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는 것과 달리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는 자체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M&A를 중개합니다.

빠르게는 6개월 만에도 거래가 성사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A에 사가미가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이미 과거에 이런 문제를 간접적으로 겪었기 때문입니다.

사가미의 할아버지는 오사카에서 일평생 부동산 중개업소를 운영했지만, 후계자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인수 합병도 잘 성사되지 못하면서 할아버지의 은퇴와 함께 중개업소는 폐업을 하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가미는 M&A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알려졌습니다.

사가미가 주목한 것은 기존의 M&A 과정이 상당 부분 비효율적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포브스는 "일본의 기업 중 약 99%가 중소기업인데, 제대로 된 M&A를 하지 못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가미는 바로 이 점을 파고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사가미는 2018년 M&A 리서치 인스티튜트 홀딩스를 도쿄에 세웠고, 이 회사는 그야말로 대박을 터트렸습니다.

M&A를 통해 도약을 꿈꾸던 중소기업들이 앞다퉈 그를 찾아왔기 때문입니다.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그는 자신의 회사를 도쿄증시에 상장시켰고, 그 지분의 73%를 보유하며 억만장자가 됐습니다.

억만장자는 그에게 새로운 시작이라고 전해졌습니다.

포브스에 따르면 사가미의 현재 관심사는 M&A를 넘어 자산운용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포브스는 "(M&A를 통해) 갑자기 큰 수익을 창출한 뒤가 오히려 중요하며, 자산을 올바르게 증식하는 바가 현재의 관심사이자 기업 경영 방향"이라고 전했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nu11iee98@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