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말뚝망둑어 눈깜박임…"사지동물의 육지 진출을 들여다볼 수 있는 단서"
입력 2023-04-26 10:24  | 수정 2023-04-26 10:28
/사진=연합뉴스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은 사지동물이 육지 생활에 적응하며 진화한 속성의 일부"

어류지만 개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이 인간을 포함한 사지(四肢) 동물 조상의 육지 진출을 들여다볼 수 있는 단서로 제시됐습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생물학 조교수 토머스 스튜어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말뚝망둑어(mudskipper)의 눈깜박임이 물 밖으로 나와 뭍에 오른 사지동물 조상의 진화와 같은 속성을 가졌다는 점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포유류는 물론 조류와 파충류, 양서류 등 사지동물의 조상은 약 3억7천500만년 전 물 속에서 나와 육지로 서식지를 옮겼는데, 현재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이 당시 육지 생활에 적응하던 진화의 한 과정과 같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눈꺼풀은 화석으로 잘 보존되지 않는 연조직이라 화석을 통해 진화과정을 분석하기는 어렵지만 물 밖으로 나와 개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이 이를 알 수 있는 대용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연구팀은 우선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해 말뚝망둥어가 어떻게 눈깜박임 행동을 하게 됐는지를 분석,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이 기존 근육의 작용선을 바꾸고 피부보호막 조직을 새로 진화시켜 출현하게 된 것으로 봤습니다.

연구팀은 또 말뚝망둥어가 눈을 깜박이게 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눈깜박임이 하는 기능을 분석, 말뚝망둑어가 눈이 건조할 때 더 자주 눈을 깜박이는 것을 발견했으며 눈물샘이 없는데도 눈깜박임을 통해 눈을 촉촉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또 말뚝망둑어의 눈깜박임이 눈에 낀 먼지 등의 티끌을 제거하는지, 눈 부상을 예방하는지 등도 실험했는데,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이는 말뚝망둑어가 눈깜박임을 통해 인간을 비롯한 사지동물이 얻는 눈의 보습과 청결, 부상 예방 등 세 가지 기본 기능을 똑같이 챙기고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시됐습니다.

연구팀은 말뚝망둥어 연구를 통해 사지동물이 눈을 깜박이게 된 이유와 방법 등을 추정할 수 있게 됐으며 이는 인간이 지금과 같은 존재에 이르게 방식에 관해 이해를 넓힐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양서정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1023ashley@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