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MZ세대, 의류에만 월 10만원 지출…88%가 온라인 채널로 구매"
입력 2023-04-25 10:15  | 수정 2023-04-25 10:21
MZ세대 의류 구매 시 평균 지출 금액과 채널 / 사진=오픈서베이 보고서 캡처
오픈서베이 조사…쇼핑몰모음서비스 50%·오픈마켓 33% 차지
이용률 각각 무신사·네이버쇼핑 선두…'브랜드보다는 디자인'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 세대)는 의류에 월평균 10만원을 지출하며 대다수는 온라인 채널을 통해 구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25일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가 지난 1∼4일 만 15∼39세 남녀 2천명을 조사해 발간한 'MZ세대 패션앱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MZ세대는 1회 평균 의류 지출 비용이 10만1천원, 3개월 총지출 비용은 29만2천원으로 월평균 약 10만원을 의류 구매에 썼습니다.

이들 10명 가운데 9명(88.2%)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의류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 모음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0.3%(중복 응답 가능)로 가장 높았습니다.

2021년 스타일쉐어·29CM를 인수하며 작년에 거래액이 2조원을 돌파한 무신사는 인지, 이용 경험, 구매 경험, 3개월 내 구매 경험을 거쳐 형성된 주이용률이 27.2%에 달했습니다.

무신사 / 사진=무신사 홈페이지

무신사에 이어 이용률이 높은 쇼핑몰 모음 서비스는 지그재그(9.7%), 에이블리(8.0%), 탑텐몰(4.5%) 등의 순이었습니다.

지그재그는 작년 거래액이 1조원을 기록한 이후 뷰티와 리빙 등으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며 에이블리, 브랜디 등 다른 패션 버티컬 플랫폼도 분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런 쇼핑몰 모음 서비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게시물이나 유튜브 채널과 같은 자체 제작 콘텐츠의 접촉 경험자와 정기 구독은 각각 전체의 23.1%, 2.3%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오픈서베이는 "서비스 내에서 정보탐색이 많이 이뤄지는 만큼 자연스럽고 지속해 자체 콘텐츠에 노출되도록 콘텐츠 접촉률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MZ세대는 온라인 쇼핑몰 모음 서비스 외 온라인 채널에서 오픈마켓(32.9%)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픈마켓은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과 달리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가 여러 명이고, 이들이 서로 다른 가격과 품질의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다양한 선택지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쇼핑몰 모음 서비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게시물이나 유튜브 채널과 같은 자체 제작 콘텐츠의 접촉 경험자와 정기 구독은 각각 전체의 23.1%, 2.3%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오픈서베이는 "서비스 내에서 정보탐색이 많이 이뤄지는 만큼 자연스럽고 지속해 자체 콘텐츠에 노출되도록 콘텐츠 접촉률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MZ세대는 온라인 쇼핑몰 모음 서비스 외 온라인 채널에서 오픈마켓(32.9%)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픈마켓은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과 달리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가 여러 명이고, 이들이 서로 다른 가격과 품질의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다양한 선택지를 가질 수 있습니다.

MZ세대의 오픈마켓 이용률은 네이버쇼핑(67.6%)이 가장 높았으며 쿠팡(36.4%), G마켓(33.9%), 11번가(33.7%), 티몬(17.5%), 위메프(16.1%), 옥션(11.6%), GS샵(7.9%), 인터파크(3.4%)가 뒤를 이었습니다.

MZ세대 평소 의류 구매 채널 / 사진=오픈서베이 보고서 캡처

오프라인 채널에서 MZ세대의 의류 구매 이용률은 아울렛(30.6%), 백화점(28.0%), 대형 복합 쇼핑몰(23.1%), 가두 매장(15.2%), 개인 매장(13.3%), 대형마트(9.0%) 등의 순이었습니다.

홈쇼핑 이용률은 4.4%에 그쳤습니다.

MZ세대가 의류 구매에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는 디자인(49.5%), 핏·사이즈(48.8%), 가격대(42.0%), 가성비(35.8%), 품질·소재(27.3%), 리뷰(19.3%), 브랜드(17.3%) 등의 순이었습니다.

브랜드보다는 디자인과 사이즈, 가격대와 가성비 등을 고려하는 합리적 소비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 본인이 직접 의류를 구매한다는 응답과 온라인에서 의류 구매 후 리뷰나 후기를 가끔이라도 작성한다는 응답은 각각 전체의 77.6%, 74.6%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MZ세대 의류 구매 시 고려 요소사진 / 사진=오픈서베이 보고서 캡처


[서예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lanastaisa7767@gmail.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