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납치•살해 사건은 지난 13일 7명의 피의자 검찰 송치로 사실상 마무리됐지만 뒷말이 무성합니다.
어쩌면 경찰로서는 납치범을 검거했고, 범행 동기와 증거를 밝혀내며 총력 수사를 한 결과에 대한 평가 대신, 자꾸 과정을 들추어내며 여론의 뭇매를 맞는 게 달갑지만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앞서 백남익 서울수서경찰서장과 경찰청 관계자도 각각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인정했듯, 분명 보완책 마련이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경찰은 지난달 29일 밤 11시 46분쯤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단지 앞에서 '여성을 때리고 차에 태워 끌고 갔다'는 신고 접수 7분 만에 현장에 출동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성만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신고 내역은 다음과 같은데 꽤나 긴박하고 자세합니다.
"남성 두분이 한명이 여성을 때리고 한명은 차에 있었고 잡아간 거 같다. 여성이 살려달라고 소리 지르고 신고자가 소리지르니 끌고 도망갔다. 때리던 사람은 신고자에게 신경 쓰지 말고
가라 하고 가는 척 하니까 같이 차량 타고 간 것 같다. (이하 생략)"
경찰은 사고 발생 3분 뒤 코드제로를 발동했습니다.
하지만 납치 의심 신고 약 1시간 뒤인 지난달 30일 0시 52분에서야 피해자를 태운 차량을 특정했습니다.
CCTV 화질이 좋지 않은데다 차종을 신고자가 잘못 진술해 차량 번호 확인에 시간이 걸렸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이에 대해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CCTV가 얼마나 많은데 충분히 특정할 수 있다"며 현장 인력이 관련 기술을 잘 활용하지 못한 게 아니냐고 꼬집었습니다.
게다가 특정 차량 번호를 (WASS) 수배차량 검색시스템에 등록한 건 이날 새벽 4시 57분이었고, 두 시간 뒤인 이날 6시 55분쯤에서야 대전에서 정확히 차량 위치가 포착됐습니다.
수배차량 검색시스템은 주요도로 CCTV에 해당 차량 번호가 포착되면 112 종합상황실과 외근 경찰의 업무용 휴대전화에도 정보가 전송돼 해당 차량의 신속한 검거를 돕는 시스템입니다.
이 차량번호를 일찍 등록 했다면, 수상한 궤적과 이동 방향을 토대로 실시간에 가까운 추적이 가능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그 사이 납치범들은 피해자를 태운 차량으로 자정이 지나 서울을 빠져 나와 경기도 용인과 평택을 거쳐 대전으로 갔습니다.
이어 피해자를 살해한 뒤 대청댐 인근 야산에 시신을 유기했고, 150km가량을 이동한 뒤에서야 검거됐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비슷한 시각 유사 사건이 몰렸고, CCTV가 촘촘하게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일찍 입력했어도 실질적으로 포착하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대목은 또 있습니다.
납치 신고 11시간이 지난, 다음날인 31일 오전 11시 24분쯤 피해자 측 가족이 실종 신고를 한 뒤에야 피해자 특정이 가능했다는 점입니다.
경찰은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자 측 휴대전화 실시간 위치를 추적해 이날 새벽 02시 56분쯤 경기 용인에서 휴대전화 전원이 끊긴 점을 이 날 오후 파악한 것으로 확인됐는데, 휴대전화가 꺼진 시간 언저리까지 피해자의 생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
경찰은 국과수 부검 결과를 토대로 피해자는 마취제 성분 중독으로 사망에 이르렀으며, 피의자 측의 진술에 따라 납치 이튿날 새벽 02시 30분~ 03시경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게다가 112신고 접수가 사건 발생 즉시 이뤄졌고 일선 경찰이 출동했는데도 왜 신속한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앞서 경찰은 이런 여론을 염두에 둔 듯 "상부 보고가 늦은 것은 사실"이라며 사실상 감찰을 암시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배상훈 프로파일러도 이번 경찰 수사를 놓고 "초동 대응은 빨랐지만 추적에는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며 재발 방지책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세간의 관심이 사그라들어서일까요.
경찰은 피의자 신상공개, 검찰 송치까지 속전속결로 처리했지만 아직까지 감찰 관련 지시나 보완책 마련 소식은 들리지 않습니다.
물론 피해자의 휴대 전화 행방이나 납치부터 살해까지 약 3시간동안 피해자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가상화폐의 실제 인출 여부 등 본수사 내용도 중요하겠습니다만, 앞으로 여타의 경찰 수사에서 아쉬운 순간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는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도 국민들이 가장 위급한 순간 찾게 되는 번호는 112, 13만 경찰이기 때문입니다.
[오지예 기자 calling@mbn.co.kr]
어쩌면 경찰로서는 납치범을 검거했고, 범행 동기와 증거를 밝혀내며 총력 수사를 한 결과에 대한 평가 대신, 자꾸 과정을 들추어내며 여론의 뭇매를 맞는 게 달갑지만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앞서 백남익 서울수서경찰서장과 경찰청 관계자도 각각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인정했듯, 분명 보완책 마련이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상세한 신고였는데...뒤늦게 수배령, 왜?
경찰은 지난달 29일 밤 11시 46분쯤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단지 앞에서 '여성을 때리고 차에 태워 끌고 갔다'는 신고 접수 7분 만에 현장에 출동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성만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신고 내역은 다음과 같은데 꽤나 긴박하고 자세합니다.
"남성 두분이 한명이 여성을 때리고 한명은 차에 있었고 잡아간 거 같다. 여성이 살려달라고 소리 지르고 신고자가 소리지르니 끌고 도망갔다. 때리던 사람은 신고자에게 신경 쓰지 말고
가라 하고 가는 척 하니까 같이 차량 타고 간 것 같다. (이하 생략)"
경찰은 사고 발생 3분 뒤 코드제로를 발동했습니다.
하지만 납치 의심 신고 약 1시간 뒤인 지난달 30일 0시 52분에서야 피해자를 태운 차량을 특정했습니다.
CCTV 화질이 좋지 않은데다 차종을 신고자가 잘못 진술해 차량 번호 확인에 시간이 걸렸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이에 대해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CCTV가 얼마나 많은데 충분히 특정할 수 있다"며 현장 인력이 관련 기술을 잘 활용하지 못한 게 아니냐고 꼬집었습니다.
게다가 특정 차량 번호를 (WASS) 수배차량 검색시스템에 등록한 건 이날 새벽 4시 57분이었고, 두 시간 뒤인 이날 6시 55분쯤에서야 대전에서 정확히 차량 위치가 포착됐습니다.
수배차량 검색시스템은 주요도로 CCTV에 해당 차량 번호가 포착되면 112 종합상황실과 외근 경찰의 업무용 휴대전화에도 정보가 전송돼 해당 차량의 신속한 검거를 돕는 시스템입니다.
이 차량번호를 일찍 등록 했다면, 수상한 궤적과 이동 방향을 토대로 실시간에 가까운 추적이 가능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그 사이 납치범들은 피해자를 태운 차량으로 자정이 지나 서울을 빠져 나와 경기도 용인과 평택을 거쳐 대전으로 갔습니다.
이어 피해자를 살해한 뒤 대청댐 인근 야산에 시신을 유기했고, 150km가량을 이동한 뒤에서야 검거됐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비슷한 시각 유사 사건이 몰렸고, CCTV가 촘촘하게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일찍 입력했어도 실질적으로 포착하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신속 검거에도 '납치 골든타임' 놓쳤나 비판 여전
하지만 아쉬운 대목은 또 있습니다.
납치 신고 11시간이 지난, 다음날인 31일 오전 11시 24분쯤 피해자 측 가족이 실종 신고를 한 뒤에야 피해자 특정이 가능했다는 점입니다.
경찰은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자 측 휴대전화 실시간 위치를 추적해 이날 새벽 02시 56분쯤 경기 용인에서 휴대전화 전원이 끊긴 점을 이 날 오후 파악한 것으로 확인됐는데, 휴대전화가 꺼진 시간 언저리까지 피해자의 생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
경찰은 국과수 부검 결과를 토대로 피해자는 마취제 성분 중독으로 사망에 이르렀으며, 피의자 측의 진술에 따라 납치 이튿날 새벽 02시 30분~ 03시경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미흡한 공조, 아쉬움 남는다더니...." 지휘부 '조용'
게다가 112신고 접수가 사건 발생 즉시 이뤄졌고 일선 경찰이 출동했는데도 왜 신속한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앞서 경찰은 이런 여론을 염두에 둔 듯 "상부 보고가 늦은 것은 사실"이라며 사실상 감찰을 암시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배상훈 프로파일러도 이번 경찰 수사를 놓고 "초동 대응은 빨랐지만 추적에는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며 재발 방지책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세간의 관심이 사그라들어서일까요.
경찰은 피의자 신상공개, 검찰 송치까지 속전속결로 처리했지만 아직까지 감찰 관련 지시나 보완책 마련 소식은 들리지 않습니다.
물론 피해자의 휴대 전화 행방이나 납치부터 살해까지 약 3시간동안 피해자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가상화폐의 실제 인출 여부 등 본수사 내용도 중요하겠습니다만, 앞으로 여타의 경찰 수사에서 아쉬운 순간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는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도 국민들이 가장 위급한 순간 찾게 되는 번호는 112, 13만 경찰이기 때문입니다.
[오지예 기자 calli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