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 카메라로 달 뒷면 지형 촬영해 공개…다른 탑재체도 정상 작동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달 궤도선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생생한 지형을 우리나라 최초로 촬영해 전송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2일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다누리는 지난달 22일 고해상도카메라(LUTI)로 달 뒷면 대형 크레이터(충돌구)인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습니다.
다누리가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 180㎞ 크기로 중간에 바닥부터 3천200m 이상 솟은 봉우리가 특징입니다.
러시아 루나 3호가 처음 발견해 로켓 이론 선구자인 러시아 우주비행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 등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보입니다.
지난달 24일에는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도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슈뢰딩거 계곡은 길이 320㎞, 폭 8~10㎞ 계곡으로 슈뢰딩거 충돌구가 만들어질 때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충돌하면서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입니다.
다누리가 촬영한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영상폭 55km)/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달 뒷면 북위 31도 부근 지름 23km 분화구로 주변 테두리가 후속 충격으로 모양이 변형된 형태를 띱니다.
이번에 촬영한 영상은 향후 달 지표 구성 성분이나 충돌구 내 봉우리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
다누리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비흐만 크레이터/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다누리에 탑재된 광시야편광카메라로 비흐만 크레이터를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과 입자크기, 조성에 따라 빛 반사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해 표토입자 크기와 조성을 알아내는 장비입니다.
이번 촬영 영상에서 파장과 편광 필터 종류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걸 확인해 향후 달 표면 입자와 조성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누리에 탑재된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도 정상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얻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습니다.
다누리 홈페이지 실시간 위치 확인/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편 다누리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촬영한 영상은 다누리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홈페이지에서는 달 궤도 위 다누리 실시간 위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누리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r50261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