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아이 안 낳는 이유 물어보니 '충격'...답변 뭐길래?
입력 2023-03-17 15:00  | 수정 2023-03-17 15:02
기시다 총리./사진=연합뉴스
“일본 미래 없다” “책임질 수 없다”
女 '경력단절' 男 '경제적 부담' 우려

어제(1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는 저출산 문제와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30% 이상이 ‘아이를 원한 적이 없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니케이는 지난달 5000명이 넘는 인원을 대상으로 독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이를 갖지 않는 이유에 대한 주관식 응답에서 "일본에서는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에 희망이 없다"는 비관적인 답변이 우세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다른 응답에서도 앞으로 쇠퇴기에 접어드는 일본에서 태어나는 아이가 불쌍하다. 책임질 수 없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이어졌다고 전했습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의 30%는 아이를 과거에도 원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가질 생각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저출산은 일본이 한국보다 일찍 나타났습니다. 인구학적으로 '차일드리스(Childless)'는 여성이 50대 시점에서 아이가 없을 경우를 뜻합니다. 일본의 차일드 리스 비율은 70년생 여성 27%로 OECD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다음은 핀란드(20.7%), 오스트리아, 스페인 순입니다.


이에 대해 니케이는 유럽은 국가적인 다양한 지원책으로 차일드 리스 경향이 감소하고 있으나, 일본은 반대로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현재 저출산 경향이 지속될 경우 2000년생 여성의 31~39%가 평생 자녀를 갖지 않을 것이라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결혼을 안한 이유에 대해서는 '결혼을 하고 싶지만 못했다'는 대답은 남성이 우세했으나, '결혼을 하고 싶지 않아서 안 했다'는 대답은 여성이 우세했습니다.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를 묻는 객관식 질문에서는 여성이 ‘경력 단절을 꼽았으며, 남성은 ‘경제적 부담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습니다.

‘아이가 있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80%가 ‘그렇다라고 답해 아이를 갖고 싶지 않은 것이 경제적 여건 등 주변 환경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습니다.

니케이는 특히 여성과 남성의 전통적인 역할을 강요하는 일본 사회도 한 몫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주부가 된 어머니의 희생 ‘가부장적인 환경을 예로 들었습니다.

니케이는 아이를 가져야 한다, 여성이 아이를 키워야 한다, 남성이 벌어야 한다는 사회적 규범이 삶의 방식을 바꿔버렸을 수 있다”며 기시다 정권이 어린이 예산을 두배로 늘리는 등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메시지가 없으면 국민의 마음이 움직이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가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imke3998@naver.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