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산업혁명과 연계해 화풍·색상변화 분석
시시각각 변하는 빛과 몽롱한 하늘을 담은 인상주의 작품이 사실은 산업혁명으로 오염된 유럽의 대기를 표현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31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는 소르본대 기상학연구소의 애나 올브라이트와 피터 하이버스 하버드대 지구행성학 교수가 인상파 화가인 윌리엄 터너와 클로드 모네의 그림에 나타난 화풍과 색상 변화를 공기오염과 연결해 분석한 연구 결과가 실렸습니다.
연구진은 터너가 1796∼1850년에 그린 작품 60점과 모네가 1864∼1901년에 그린 작품 38점을 분석한 결과, 당시 유럽의 대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두 화가의 작품도 점점 더 흐릿해졌다고 결론내렸습니다.
영국 태생의 터너(1775∼1851년)와 프랑스의 모네(1840∼1926년)는 서유럽에서 산업혁명이 한창이었던 18∼20세기 초반에 활동했습니다.
석탄을 연료로 태우는 공장들이 이산화황 등 오염물질을 뿜어냈고 대기에는 미세입자인 에어로졸이 가득했습니다.
에어로졸은 태양에서 오는 방사선을 흡수하고 분산하는데, 방사선이 분산되면 먼 곳에 있는 물체 간 명암과 색의 차이가 줄어들면서 물체 간 경계를 분별하기 어렵게 됩니다.
연구진은 "더 흐릿한 윤곽과 더 하얀 색조로 바뀐 화풍은 대기 내 에어로졸 농도 증가로 예상되는 시각적 변화와 일치한다"며 "이런 결과는 터너와 모네의 작품이 산업혁명 당시 대기 환경 변화의 요소를 포착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