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참석 시 식대 얼마일지 생각해서 조절하면 어떨까"
"10만 원 부담스러우면 5만 원 내고 '노쇼'하는 방법도"
"10만 원 부담스러우면 5만 원 내고 '노쇼'하는 방법도"
'축의금플레이션'(축의금+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날 정도로 축의금에 관한 고민과 논쟁이 뜨거운 가운데 전문가도 나서 "식대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어떨까"라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오늘(16일) CBS 라디오에서 "축의금은 예로부터 상호 부조하는 일종의 품앗이 역할을 했지만 물가가 올라 돈 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부담이 됐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교수는 축의금 적정선에 대해 "1년 전에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대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생각하는 축의금 적정선을 조사한 결과 53.3%는 10만 원 미만, 45.3%는 10만 원에서 20만 원 사이로 평균 7만 8900원 정도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하지만 뷔페 같은 경우 식대가 일반 예식장도 1인당 평균 7만 원, 호텔 등 코스로 나올 경우엔 14만 원이 넘는다"며 "평균 액수만 내고 뷔페를 먹기에는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교수는 축의금 적정선에 대해 "밥값을 생각해서, 10만 원 내기는 부담스러워서 5만 원만 내고 '노쇼'를 하는 것"이라며 "(결혼식에) 참석을 할 땐 거기에 드는 식대가 얼마쯤 될지를 고민하고, 적어도 '식대보다는 좀 더 많은 축의금을 낼 수 있다' 그러면 좀 조절하시는 게 어떨까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전과는 달라진 사회 분위기와 관련해 "어느 순간부터는 (축의금 문화를) 좀 끊어주고 새로운 결혼 문화를 정립하는 그런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한편 통계청의 '2022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6으로 전년 대비 5.9% 상승해 3분기 기준 2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몇 년 전 5만 원과 오늘의 5만 원이 느낌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김윤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yanna110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