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먼저 보신대로 중국인 관광객 입국을 금지하는 수준의 고강도 방역 강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출입하는 전남주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 질문 1번 】
전 기자, 오늘 발표된 방역대책에 PCR 검사가 포함됐죠? 강력한 조치라는 평가인데 우리 방역에 안전판 역할을 할까요?
【 기자 】
네 먼저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중국은 백신 접종률과 자연 면역력이 낮은 상황인데, 최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됐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해외 여행의 빗장을 풀기도 전에 이미 중국발 해외유입 확진자는 지난달 19명이었는데, 어제(29일) 기준으로는 278명으로 급증했습니다.
【 질문 2번 】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사, 그런데 국민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품을 수 있거든요?
【 기자 】
네, 방역당국은 중국발에 입국자라고 표현을 했죠.
이번 조치에서 홍콩과 마카오에서 출발하는 사람들은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 확진자가 코로나 검사증명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국내로 손쉽게 들어올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질문 3번 】
입국 후 코로나 검사를 한다고 해도 그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데 정부는 어떻게 관리를 한다는 건가요?
【 기자 】
방역당국은 단기체류자의 경우 하루평균 100~300명 수용 가능한 시설을 확보해놨다고 밝혔습니다.
장기체류자 역시 검체채취 후 결과가 나올 때 까지 외부활동 등을 자제하고 자택 등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고했고요.
다만, 격리자가 7일 격리 의무를 다하지 않고 몰래 빠져나와도 막는 방법이 없어서 양심에 맡겨야 하는 상황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 인터뷰(☎) : 김우주 /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일부 시설 격리는 있지만, 자율적으로 시설 격리가 아닌 자택 격리를 자율적으로 하게 돼 있기 때문에 만약 지키지 않고 돌아다닌다면은 또 지역사회에 퍼뜨릴 우려가 있다…."
지역사회 내 감염이 우려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 질문 4번 】
중국의 코로나 대유행으로 국내선 감기약 품귀현상이 심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정부가 대책을 내놨죠?
【 기자 】
중국 보따리상으로 추정되는 중국인이 감기약을 사재기했다는 보도까지 나왔죠.
정부가 약국에서 판매하는 감기약의 수량을 제한하기로 방향을 잡았는데, 다음 주 초 구체적인 판매제한 수량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또 공항과 우편을 통한 감기약 밀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재판매를 위해 감기약을 사재기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단속하기로 했습니다.
【 앵커멘트 】
내년에는 엔데믹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까 즐거운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또 중국발 코로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걱정이 되는군요. 지금까지 전남주 기자였습니다.
먼저 보신대로 중국인 관광객 입국을 금지하는 수준의 고강도 방역 강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출입하는 전남주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 질문 1번 】
전 기자, 오늘 발표된 방역대책에 PCR 검사가 포함됐죠? 강력한 조치라는 평가인데 우리 방역에 안전판 역할을 할까요?
【 기자 】
네 먼저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중국은 백신 접종률과 자연 면역력이 낮은 상황인데, 최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됐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해외 여행의 빗장을 풀기도 전에 이미 중국발 해외유입 확진자는 지난달 19명이었는데, 어제(29일) 기준으로는 278명으로 급증했습니다.
【 질문 2번 】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사, 그런데 국민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품을 수 있거든요?
【 기자 】
네, 방역당국은 중국발에 입국자라고 표현을 했죠.
이번 조치에서 홍콩과 마카오에서 출발하는 사람들은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 확진자가 코로나 검사증명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국내로 손쉽게 들어올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질문 3번 】
입국 후 코로나 검사를 한다고 해도 그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데 정부는 어떻게 관리를 한다는 건가요?
【 기자 】
방역당국은 단기체류자의 경우 하루평균 100~300명 수용 가능한 시설을 확보해놨다고 밝혔습니다.
장기체류자 역시 검체채취 후 결과가 나올 때 까지 외부활동 등을 자제하고 자택 등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고했고요.
다만, 격리자가 7일 격리 의무를 다하지 않고 몰래 빠져나와도 막는 방법이 없어서 양심에 맡겨야 하는 상황입니다.
전문가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 인터뷰(☎) : 김우주 /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 "일부 시설 격리는 있지만, 자율적으로 시설 격리가 아닌 자택 격리를 자율적으로 하게 돼 있기 때문에 만약 지키지 않고 돌아다닌다면은 또 지역사회에 퍼뜨릴 우려가 있다…."
지역사회 내 감염이 우려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 질문 4번 】
중국의 코로나 대유행으로 국내선 감기약 품귀현상이 심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정부가 대책을 내놨죠?
【 기자 】
중국 보따리상으로 추정되는 중국인이 감기약을 사재기했다는 보도까지 나왔죠.
정부가 약국에서 판매하는 감기약의 수량을 제한하기로 방향을 잡았는데, 다음 주 초 구체적인 판매제한 수량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또 공항과 우편을 통한 감기약 밀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재판매를 위해 감기약을 사재기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단속하기로 했습니다.
【 앵커멘트 】
내년에는 엔데믹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까 즐거운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또 중국발 코로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걱정이 되는군요. 지금까지 전남주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