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관련 발언에 여야 모두 비판하는 이상민
"섣부른 추측 안 된다는 취지" 해명
"섣부른 추측 안 된다는 취지" 해명
이태원 참사에 대해 "경찰·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고 발언해 논란을 부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오늘(31일) "사고를 막기에 불가능했다는 게 아니라 과연 그것이 (사고의) 원인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사망자 합동 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뒤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경찰·소방 인력으로 사고를 막기 불가능하다고 말했는데 무슨 뜻이냐'는 질문을 받고 이 같이 답했습니다.
이 장관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알기 전까지는 섣부른 예측이나 추측, 선동성 정치적 주장을 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라며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앞으로 다시는 이와 같은 대참사를 면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이어 "과연 경찰의 병력 부족으로 인한 사고였는지 아니면 근본적으로 우리가 집회나, 어떤 모임에 있어서 시정해야 될 것이 있는 건지 그런 것을 보다 깊게 연구를 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이 장관은 전날(3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이태원 참사에 대한 사전 대비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이 장관은 해당 발언 이후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풀리는 상황이 있었지만, 그전(핼런윈 축제)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다"라고도 했습니다.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및 경찰 관계자 등이 '핼러윈 압사 참사' 현장감식을 벌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이후 여야를 망라하고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 장관을 겨냥해 "정부 당국이 (이태원 참사에 대해) 책임이 없다, 할만큼 했다는 이런 태도로 국민들을 분노하게 할 게 아니다"라며 "낮은 자세로 오로지 국민 만을 위하고 모든 것이 나의 책임이라는 자세로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집중해주길 바란다"고 꼬집었습니다.
우상호 민주당 의원도 "잘 모르는 입을 닫고 있어야지, 변명하다가 국민 화를 북돋우는지 모르겠다. 지금은 책임을 피하기 위한 얘길 던질 때가 아니다"라며 "경찰보다 더 권위 있는 질서 유지 요원이 어디에 있느냐. 이 정도 사고가 날 줄 예상할 수 있는 사람은 없지만 결국 안전불감증이 이런 대형 사고를 키우는 것이고 그런 측면에서 이 장관의 발언은 아주 부적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 당권 도전을 시사한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 장관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대해 "공감한다"며 "이 장관이 주말 집회시위로 인력을 배치하다보니 (이태원) 배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던 것 같은데 별로 좋은 판단이 아니었다. 사전 교통대책과 안전을 위해 통행을 제한하는 등 대책 세우는 데 소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도 "어떤 입장에서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지만 썩 설득력 있는 표현은 아니었다. 지금은 언행, 특히 말조심해야 하고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무겁게 이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김종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인파가 이 정도로 몰릴 것으로 예상했고 방송사 등이 이태원 축제를 보도하며 관심이 크게 고조됐는데 좀 더 세심한 배려와 준비를 했어야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가 31일 대전시청에 마련된 가운데, 한 대전시민이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조문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1일 오전 6시 기준 이태원 참사로 인한 사망자는 154명, 부상자는 14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부상자는 중상 33명, 경상이 11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98명, 남성이 56명입니다. 연령 별로는 20대가 103명으로 가장 많고, 30대 30명, 10대 11명, 40대 9명, 50대 1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외국인 사망자는 26명입니다. 출신 국가별로 이란 5명, 중국과 러시아 각 4명, 미국과 일본 각 2명, 프랑스·호주·노르웨이·오스트리아·베트남·태국·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스리랑카 각 1명입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