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금리 3%시대 ◆
12일 기준금리가 0.5% 인상되면서 대출자들 부담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 소득이 적은 사람(하위 30%),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664점 이하)과 같은 이른바 '취약차주'들이 한계 상황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졌다. 매일경제 분석 결과 '빅스텝'에 따라 가계가 추가로 부담하는 이자는 8조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이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빅스텝'을 밟을 경우 두 달 새 이자 부담이 16조원 이상 늘어난다는 이야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기준 취약차주 비중은 6.3% 수준이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한국은행 자료를 토대로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이 평균 32만7000원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취약차주가 25만9000원, 비취약차주가 33만2000원이다. 이 금액은 취약차주와 저소득층에게는 적지 않은 금액이다. 단돈 20만~30만원이 아쉬울 만큼 한계 상황에 몰린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매일경제 취재 결과 대출 플랫폼을 통해 대부업체를 연결받아 돈을 빌리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대부업 중개 플랫폼인 '대출나라'에만 매달 1만건 안팎의 대출 문의가 들어온다. 10월 대출 문의 글은 12일 만에 6000건을 넘어섰다. 이 중 상당수는 20만~50만원 수준의 소액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 필요한 사람이 이 같은 중개 플랫폼에 글을 올리면 제휴된 대부업체들이 연락하고 신청자가 업체를 고르는 식으로 운영된다. 대부업체 중에는 법정이자인 연 20%를 훌쩍 뛰어넘는 고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곳도 많다. 돈을 갚지 않을 상황에 대비해 채무자 인적사항과 주변 연락처까지 받아 가는 경우도 있다. 최근 대부업체를 이용한 이 모씨는 "바로 돈을 갚지 못하면 이자가 감당할 수 없게 늘어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연락할까봐 지인들에게 조금씩 돈을 빌려 갚았다"고 말했다.
최근 대부업체에서 소액대출을 받으려다 포기했다는 대학생 조 모씨(23)는 "주식과 가상화폐에 무리하게 투자해 손해를 크게 입어서 소액대출을 받아 만회해 볼까 하고 알아보다가 접었다. 말만 들으면 그럴듯해서 돈 빌릴 곳이 마땅치 않고 사회 경험이 적은 학생들이 현혹되기 쉽겠더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도 이 같은 실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1일 국회 정무위 국감에서 '내구제 대출' 대응에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내구재 대출이란 '나를 구제하는 대출'의 줄임말로, 불법 소액대출 중 하나다. 대출을 원하는 사람이 신용카드로 휴대전화, 노트북, 자동차 같은 고가품을 할부로 사서 대부업자에게 넘기면 업자가 물건을 팔아 수수료를 챙기고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박홍주 기자 / 신찬옥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2일 기준금리가 0.5% 인상되면서 대출자들 부담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 소득이 적은 사람(하위 30%),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664점 이하)과 같은 이른바 '취약차주'들이 한계 상황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졌다. 매일경제 분석 결과 '빅스텝'에 따라 가계가 추가로 부담하는 이자는 8조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이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빅스텝'을 밟을 경우 두 달 새 이자 부담이 16조원 이상 늘어난다는 이야기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기준 취약차주 비중은 6.3% 수준이다.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한국은행 자료를 토대로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이 평균 32만7000원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취약차주가 25만9000원, 비취약차주가 33만2000원이다. 이 금액은 취약차주와 저소득층에게는 적지 않은 금액이다. 단돈 20만~30만원이 아쉬울 만큼 한계 상황에 몰린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매일경제 취재 결과 대출 플랫폼을 통해 대부업체를 연결받아 돈을 빌리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대부업 중개 플랫폼인 '대출나라'에만 매달 1만건 안팎의 대출 문의가 들어온다. 10월 대출 문의 글은 12일 만에 6000건을 넘어섰다. 이 중 상당수는 20만~50만원 수준의 소액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 필요한 사람이 이 같은 중개 플랫폼에 글을 올리면 제휴된 대부업체들이 연락하고 신청자가 업체를 고르는 식으로 운영된다. 대부업체 중에는 법정이자인 연 20%를 훌쩍 뛰어넘는 고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곳도 많다. 돈을 갚지 않을 상황에 대비해 채무자 인적사항과 주변 연락처까지 받아 가는 경우도 있다. 최근 대부업체를 이용한 이 모씨는 "바로 돈을 갚지 못하면 이자가 감당할 수 없게 늘어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연락할까봐 지인들에게 조금씩 돈을 빌려 갚았다"고 말했다.
최근 대부업체에서 소액대출을 받으려다 포기했다는 대학생 조 모씨(23)는 "주식과 가상화폐에 무리하게 투자해 손해를 크게 입어서 소액대출을 받아 만회해 볼까 하고 알아보다가 접었다. 말만 들으면 그럴듯해서 돈 빌릴 곳이 마땅치 않고 사회 경험이 적은 학생들이 현혹되기 쉽겠더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도 이 같은 실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1일 국회 정무위 국감에서 '내구제 대출' 대응에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내구재 대출이란 '나를 구제하는 대출'의 줄임말로, 불법 소액대출 중 하나다. 대출을 원하는 사람이 신용카드로 휴대전화, 노트북, 자동차 같은 고가품을 할부로 사서 대부업자에게 넘기면 업자가 물건을 팔아 수수료를 챙기고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박홍주 기자 / 신찬옥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