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을 찾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에 한국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이며 경기 침체를 염두에 둬야 한다고 11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이 날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내년 경제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날이다. 추 부총리는 "단기적으로는 물가 안정이 우선"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내년 특히 내년 상반기에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이며 우리도 경기 침체를 기본 전제로 두고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각 국 중앙은행의 강도 높은 긴축 정책과 국제 정세 갈등 격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맞물린 탓이다.
이날 추 부총리는 뉴욕 맨해튼의 한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당장 단기로만 보면 지난 1997년 외환 위기 때처럼 외화 보유고가 부족해지고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라면서 "글로벌 신용평가사나 대형 투자은행(IB) 들을 상대로 한국 경제 정책 방향과 펀더멘털에 대해 직접 설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정책으로 인해 미국 달러화 가치가 초강세를 보이면서 원화 가치 하락세가 짙어졌고 자본 유출 우려가 고개 든 상황에서 나온 말이다.
11일(현지시간)기준 최근 3개월 간 ICE달러인덱스 12월물
최근 환율 상승과 관련해 추 부총리는 "원화가 달러화 강세에 상당히 민감하게 연동된다"고 짚었다. 다만 추 부총리는 "과거 1997년 한국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현재 우리 경제 상황이 다르다는 점에서 또 다른 금융·외환 위기가 닥친다거나 구조적인 시장 리스크가 생길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이어 추 부총리는 "영국이나 일본 등 경제 규모가 큰 나라에서 문제가 생기면 우리나라가 영향을 피해가기 어렵다"면서도 "다만 2008년 당시와 비교해도 외환보유고나 단기 외채 비중 등 현재 우리나라 거시 경제 지표가 양호하며 일례로 14년 전에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마이너스(-) 2% 대였지만 현재 플러스(+) 2% 선이라는 점, 그리고 단기 외화 조달력이 높아졌다는 점을 보면 과거 위기 반복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날 IMF는 수정 경제 전망을 통해 우리나라 올해 경제 성장률을 기존(7월 전망) 2.3%에서 2.6%로 높였다. 반면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0%로 내렸다. 전체적으로 보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과 같은 3.2%로 유지하면서 내년 전망은 2.9% 이던 것을 2.7%로 하향 했다. 우리나라 성장 전망과 관련해 추 부총리는 "지난 7월 IMF 전망이 나온 후 우리 2분기(4~6월) 경제 성장률이 발표됐는데 수출이 안 좋았지만 소비가 견조했던 덕에 당시 성장률이 IMF 전망보다 양호했다"면서 "이런 점이 IMF 이번 수정 전망에 긍정적으로 반영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연말에 제시할 내년 경제 전망치에 대해 추 부총리는 "기존 정부 전망치가 2.5% 였지만, 이보다 더 낮아질 것 같다"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추 부총리는 물가와의 전쟁을 넘어 '복합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기에 물가가 걷잡을 수 없이 뛰자 주요국 중앙은행이 이를 안정 시키기 위해 앞다퉈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는 중인데 재정 당국으로서는 이런 고강도 긴축 정책 여파와 대외 환경 불확실성이 불러올 경기 침체 시나리오에 동시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물가에 대해 추 부총리는 "대체적으로 지금 상황을 가정하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내년 10월 즈음에 정점을 찍고 천천히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농산물 가격은 안정세인데 전기·가스 요금 등 공공 요금이나 외식 등 각종 서비스 부문 가격이 하방 경직성을 가지고 있고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 감산 결정으로 인해 국제 유가가 다시 뛰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실물 경제와 관련해 추 부총리는 당장 위기가 오지 않더라도 대내외 리스크에 모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내년 특히 내년 상반기에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대외적으로는 우리나라 에너지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대립 구도, 또 수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미·중 갈등이나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 연장 집권 이후 경제 정책을 핵심 변수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준 등 각 국 중앙은행의 고강도 긴축 정책 뿐 아니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불확실성, 영국 금융시장 불안, 미·중 반도체 갈등,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재집권 등 대외 환경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대외 무역 의존도가 70%를 넘는 우리나라로서는 부정적 영향을 피해가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추 부총리는 "지금 정도 불확실성은 우리 경제가 감내할 수 있겠지만 앞으로 불확실성이 어떻게 증폭할 지가 최대 관심사"라고 언급했다.
다음으로 대내 리스크와 관련해 추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가계 부채 의존도가 높은 것이 문제될 수 있다"면서 "그간 가계 부채는 비중 뿐 아니라 증가 속도가 두드러져 OECD 국가 중에서도 가장 빠른 편"이라고 말했다. 가계 부채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대출 상환 압박이 커지고 민간 소비 여력이 더 떨어져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 추 부총리는 "한국은행이나 금융 당국 공조를 통해 은행권 건전성 평가를 수시로 하고 있으며, 아직은 큰 문제가 없지만 금리를 매개로 한 가계 부채 부담이나 부동산 압박,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자금 조달 압박 문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정부가 재정 준칙을 통해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한편 사회적으로는 노동·교육 경쟁력을 키워 중장기 잠재 성장 여력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취임 후 처음으로 뉴욕을 찾아 IB 등 글로벌 투자 업계를 상대로 11일 한국경제설명회를 연 후, 워싱턴 D.C로 이동해 12∼14일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재무 장관 회의와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회의에 참석한다. 이 자리에서 IMF 나 세계은행(WB) 고위 관계자 뿐 아니라 주요국 장관을 일대일로 만나 유가 급등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 압박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뉴욕 = 김인오 특파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