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김주현 "ESG공시제도 구체화할 것…ESG평가기관 가이던스 연내 마련"
입력 2022-09-22 15:02 
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개원 20주년을 맞이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22일 '한국ESG기준원'이라는 새로운 사명을 발표하고, 좌담회를 개최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개원 20주년 기념 간담회에 참석해 정부의 향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먼저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ESG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해나가겠다"며 "국내 ESG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ESG공시제도를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축사를 맡은 김 위원장은 "ESG는 기업 경영과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비재무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흐름을 의미한다"며 "그 성격상 주관적이고 가치판단적 요수를 갖고 있어 논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위기등으로 ESG의 실천가능 여부에 우려를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이와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ESG는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계속 고민해야 할 이슈"라며 "한국ESG기준원이 '지적인 리더십(intellectual leadership)'을 발휘해 ESG 논의를 주도하고 국내기업들의 역량 확충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ESG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정책적 지원을 소개했다.
그는 ESG공시제도 구체화를 위해 글로벌 논의 동향과 한국 산업구조의 특성, 기업의 현실적 부담을 감안해 실정에 맞는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위원장은 ESG평가의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ESG평가기관의 평가모델의 적정성에 대해 시장에서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 공개와 이해상충 방지 등에 대한 자율준수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자율준수 기준은 'ESG평가기관 가이던스'를 의미하고, 이는 올해 안으로 마련될 전망이다.
그는 또 범부처 합동으로 ESG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교육·컨설팅 및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ESG를 잘 실천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투자와 기업성과 측면에서도 보다 좋은 실적을 달성해 ESG평가의 신뢰도와 유용성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ESG기준원이 이러한 선순환 구조 구축에 밑거름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