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감원, '5조 6천억 원' 태양광 대출 부실 점검 나서
입력 2022-09-22 07:00  | 수정 2022-09-22 07:47
【 앵커멘트 】
국무조정실이 태양광 사업 관련 위법·부당사례를 적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금융감독원이 5조 6천억 원 규모의 태양광 대출에 대한 전수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대출 대부분이 문재인 정부에서 이뤄졌는데, 특히 1조 5천억 원 정도는 담보가치보다 많은 초과대출이어서 부실 가능성을 들여다 보고 있습니다.
윤지원 기자입니다.


【 기자 】
문재인 정부 시절 취급된 태양광 대출은 총 5조3,931억 원.

지난 2017년 이후 발생한 태양광 관련 대출의 96%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은행별 대출규모로는 KB국민은행이 가장 많고, 전북은행, 신한은행 등이 뒤를 따랐습니다.

문제는 이 가운데 1조 5천억 원가량이 담보초과 대출이라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담보물의 가치보다 대출해준 금액이 더 크다는 건데, 사업자가 빚을 갚지 못할 경우 담보물을 처분해도 대출액을 만회할 수 없기 때문에 은행들의 부실 대출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국무조정실과 별개로 금융권의 무리한 대출 여부가 있었는지 전수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 인터뷰 : 김주현 / 금융위원장(그제)
- "금융감독원하고 얘기해 보겠습니다. 이게 부실화되면 여러 가지 경제 상황과 맞물려서 금융위 입장에서도 신경을 써야 할 이슈는 맞는 것 같습니다."

전수조사 대상 가운데 전북은행은 담보초과 대출액이 4,77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담보물 역시 전북이 아닌 강원도에 소재한 것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권에서 태양광과 관련된 여신이나 자금 운용이 생각한 것보다 다양한 형태라고 해 어떤 형태로 자금이 나가 있는지와 그 구조가 어떤지 보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 스탠딩 : 윤지원 / 기자
- "금융감독원은 금융권의 태양광 사업 대출 과정에서 외부 압력이나 청탁이 있었는지, 또 그 대가로 금융기관에 특혜가 주어졌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볼 방침입니다. MBN뉴스 윤지원입니다."

영상취재 : 이우진 기자
영상편집 : 오혜진

#MBN #MBN뉴스7 #윤지원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