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번 가을 '코로나+독감' 트윈데믹 올 수도…49세 이하 이미 독감 유행치 초과
입력 2022-09-12 09:48  | 수정 2022-09-12 10:19
코로나19 검사를 기다리는 사람들 / 사진=연합뉴스
계절독감 의심 증상 환자 1천명당 4.7명
중증도 높아질 수 있어 '트윈데믹' 위험

코로나19 재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됐지만 이르면 올가을부터 코로나19와 계절독감(인플루엔자)이 동시에 유행하는 이른바 '트윈데믹(twindemic)'이 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전문가들은 오늘(12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없는 첫 가을·겨울을 맞이하게 되면서 그동안 억눌려있던 다른 바이러스가 활개를 띨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인플루엔자에 더해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 등도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36주차·8월28~9월3일)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ILI)가 외래환자 1천명당 4.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비율은 5주 전부터 3.3(32주차)→3.7(33주차)→4.2(34주차)→4.3(35주차)→4.7(36주차)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36주차에서 1~6세 6.3, 7∼12세 5.9, 13∼18세 8.5, 19∼49세 5.2로 49세 이하 연령대에서는 이미 2022∼2023 절기 유행 기준치(4.9)를 넘었습니다.


방역당국은 최근 호주와 뉴질랜드 등에서도 일찍이 계절독감 유행이 시작됐다면서 국내에서도 이른 유행이 시작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외에도 바이러스를 포함한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도 작년보다 확연히 늘고 있습니다.

같은 자료에서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아데노·보카·파라인플루엔자·호흡기세포융합·리노·메타뉴모·코로나 바이러스)는 36주차에 총 665명으로 지난해(94명) 대비 7배가량 늘었습니다.

트윈데믹에 해당될 경우 중증도가 올라갈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문제가 됩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외국 자료를 보면 코로나와 인플루엔자에 동시 감염됐을 때 중증도가 올라간다는 보고가 있다. 자료의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동시 감염이 중증도를 상승시킬 가능성은 있다"며 "특히 고위험군들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둘 다 고위험군이기 때문에 위험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방역당국은 올가을 트윈데믹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며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활총괄단장은 지난 6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가 동시 유행 가능성이 크다"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포함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