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주산업, 당장 돈 못 벌어도 지원해야"…한국도 스페이스X 모델 절실
입력 2022-07-30 19:31  | 수정 2022-07-30 20:05
【 앵커멘트 】
며칠 뒤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를 싣고 우주로 떠나는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입니다.
지금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 하지만 처음부터 잘 나갔던 건 아니었습니다.
2002년 설립 이후 첫 상용 우주선 발사까지는 무려 10년이나 걸렸는데요.
그 긴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건 미 항공우주국, NASA 덕분이었습니다.
대형 계약을 통해 2006년에는 2억 8천만 달러, 2008년에는 16억 달러를 지원해줬거든요.
우리 정부는 얼마 전 제2의 스페이스X를 만들겠다며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 산업 '뉴스페이스'를 선언했는데요.
현장에서는 제2의 스페이스X가 나오려면 정부의 체계적인 중·장기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호소가 나옵니다.

마치 NASA가 그랬던 것처럼요.
민경영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2015년 초소형 위성 전문 스타트업을 설립한 박재필 대표, 지금은 누리호 사업에도 참여했을 정도로 회사가 성장했지만, 창업 초반에는 거의 매일 돈걱정을 해야 했습니다.

▶ 인터뷰 : 박재필 / 누리호 참여 업체 대표
- "(우주 산업이) 아직은 정부 주도 그리고 대기업 주도로 많이 진행하고 있거든요. (정부의) 지원 정책이 우주 산업에서 업체들이 만들어지고 성장하는 사이클을 많이 못 따라간다…."

우주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초기 투입 비용은 많이 들고 실질적인 수익이 날 때까지의 시간은 오래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국내 우주 산업 정책은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창업 초기 지원에만 한정돼 있고 중·장기적으로 버틸 수 있는 지원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남명용 / 인공위성 업체 대표
- "우주 (산업)에 대한 이해가 아직 적으니까, 바이오처럼 전용 펀드가 없어요. 그래서 그런 것들이 좀 생기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고요."

아직 민간 우주 산업 성숙도가 낮은 우리로선 세부적인 기술을 개발·운용하는 것은 기업이, 큰 방향을 정하고 지원을 해주는 건 정부가 담당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합니다.

▶ 인터뷰 : 김승조 / 한국항공우주기술협회 편집국장
- "융통성을 가지고 운영하는 것 개발하는 과정은 산업체가 하게끔 해줘야 하죠. 그러면 정부는 확고한 목표를 세워야 해요. 전체적인 자금 지원은 정부가 해줄 수밖에 없는 거죠."

제2의 스페이스X,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환경에서 나온다는 조언입니다.

MBN뉴스 민경영입니다.[business@mbn.co.kr]

영상취재 : 민병조 기자·이준우VJ
영상편집 : 박찬규
그래픽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