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훈 감독이 ‘외계+인에 담은 애정과 소신을 강조했다.
최동훈 감독은 13일 오후 서울 용산CGV에서 열린 영화 '외계+인' 1부(감독 최동훈)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이 영화는 CG의 도움 없이는 실현이 어려웠다"고 운을 뗐다.
최 감독은 "가장 어려운 건 디자인이었다"면서 "너무 이상하지도 않고, 너무 친숙하지도 않은, 그 경계를 찾는 게 쉽지 않았다. 어떻게 하면 CG를 심플하게 보여줄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신을 찍는 데 사전 준비만 한 달이 걸리기도 했다.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했다"고 강조했다.
최 감독은 또 "'전우치'(09) 때도 시도했지만 우리나라의 도술이 정말 많다. 기회가 된다면 다 보여주고 싶다. 사실 이런 장르를 한다면 영화 제작자들의 반대가 크다"면서 "한국에서는 낯선 장르인데 그런 시각에 반항심이 생긴다. 관객은 어떤 장르라도 볼 준비가 되어있는데 그런 반응을 보이면 반항심이 생기더라. '전우치' 때는 아이들 영화를 만들었다며 안 좋은 소리를 많이 듣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전우치'에 대한 반응이 좋다. 장르적인 교합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더불어 "한국 영화의 변화와 맞는 이야기인 것 같다. 두렵지만 도전하고 싶었다"며 "하늘 아래 새로운 이야기는 없다고 하지만 그래도 새로운 구조를 보여주고 싶었다. 관객이 예측을 하기도 하고 그 예측을 빗나갈 때 생기는 드라마가 생기길 원했다. 어렵지만 쉽게 볼 수 있길 바랐다. 그래서 시나리오를 2년 반 썼고 촬영하면서도 고쳤다. 영화 전체를 즐기길 바라는 마음에 더 마음을 썼던 것 같다"고 소신을 전했다.
깜짝 출연한 이하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 감독은 "이하늬는 '외계+인' 1부보다 2부에서 많이 나온다. '명배우가 왜 이렇게 조금만 나오지?' 생각하실까 봐 조마조마했다"라며 "이하늬의 존재가 2부에도 이야깃거리를 남겨줄 역할을 한다. 묘한 미스터리가 있다"라고 귀띔해 기대감을 높였다.
최 감독은 이번 영화를 통해 어렸을 때 극장에서 느꼈던 행복감을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었다”며 어렸을 때부터 극장가는 걸 너무 좋아했다. 노래가 흘러나오면 사람들이 좌석에 앉고 불이 꺼지고 스크린에 화면에 들어오는 그 순간이 너무 행복했다.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면서 유독 어려지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더 많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보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고 소망했다.
영화 '외계+인' 1부는 고려 말 소문 속의 신검을 차지하려는 도사들과 2022년 인간의 몸 속에 수감된 외계인 죄수를 쫓는 이들 사이에 시간의 문이 열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2022년 현재, 인간의 몸에 가두어진 외계인 죄수를 관리하며 지구에 살고 있는 가드(김우빈 분)와 썬더 그리고 630년 전 고려에서 엄청난 현상금이 걸린 신검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를 속고 속이는 얼치기 도사 무륵(류준열 분)과 천둥 쏘는 처자 이안(김태리 분)를 중심으로 시간의 문이 열리고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하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최동훈 감독이 7년 만에 내놓는 신작으로 오는 20일 개봉한다.
[한현정 스타투데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동훈 감독은 13일 오후 서울 용산CGV에서 열린 영화 '외계+인' 1부(감독 최동훈)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이 영화는 CG의 도움 없이는 실현이 어려웠다"고 운을 뗐다.
최 감독은 "가장 어려운 건 디자인이었다"면서 "너무 이상하지도 않고, 너무 친숙하지도 않은, 그 경계를 찾는 게 쉽지 않았다. 어떻게 하면 CG를 심플하게 보여줄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신을 찍는 데 사전 준비만 한 달이 걸리기도 했다.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했다"고 강조했다.
최 감독은 또 "'전우치'(09) 때도 시도했지만 우리나라의 도술이 정말 많다. 기회가 된다면 다 보여주고 싶다. 사실 이런 장르를 한다면 영화 제작자들의 반대가 크다"면서 "한국에서는 낯선 장르인데 그런 시각에 반항심이 생긴다. 관객은 어떤 장르라도 볼 준비가 되어있는데 그런 반응을 보이면 반항심이 생기더라. '전우치' 때는 아이들 영화를 만들었다며 안 좋은 소리를 많이 듣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전우치'에 대한 반응이 좋다. 장르적인 교합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더불어 "한국 영화의 변화와 맞는 이야기인 것 같다. 두렵지만 도전하고 싶었다"며 "하늘 아래 새로운 이야기는 없다고 하지만 그래도 새로운 구조를 보여주고 싶었다. 관객이 예측을 하기도 하고 그 예측을 빗나갈 때 생기는 드라마가 생기길 원했다. 어렵지만 쉽게 볼 수 있길 바랐다. 그래서 시나리오를 2년 반 썼고 촬영하면서도 고쳤다. 영화 전체를 즐기길 바라는 마음에 더 마음을 썼던 것 같다"고 소신을 전했다.
깜짝 출연한 이하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 감독은 "이하늬는 '외계+인' 1부보다 2부에서 많이 나온다. '명배우가 왜 이렇게 조금만 나오지?' 생각하실까 봐 조마조마했다"라며 "이하늬의 존재가 2부에도 이야깃거리를 남겨줄 역할을 한다. 묘한 미스터리가 있다"라고 귀띔해 기대감을 높였다.
최 감독은 이번 영화를 통해 어렸을 때 극장에서 느꼈던 행복감을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었다”며 어렸을 때부터 극장가는 걸 너무 좋아했다. 노래가 흘러나오면 사람들이 좌석에 앉고 불이 꺼지고 스크린에 화면에 들어오는 그 순간이 너무 행복했다.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면서 유독 어려지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더 많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보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다”고 소망했다.
영화 '외계+인' 1부는 고려 말 소문 속의 신검을 차지하려는 도사들과 2022년 인간의 몸 속에 수감된 외계인 죄수를 쫓는 이들 사이에 시간의 문이 열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2022년 현재, 인간의 몸에 가두어진 외계인 죄수를 관리하며 지구에 살고 있는 가드(김우빈 분)와 썬더 그리고 630년 전 고려에서 엄청난 현상금이 걸린 신검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를 속고 속이는 얼치기 도사 무륵(류준열 분)과 천둥 쏘는 처자 이안(김태리 분)를 중심으로 시간의 문이 열리고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하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최동훈 감독이 7년 만에 내놓는 신작으로 오는 20일 개봉한다.
[한현정 스타투데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