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리인상에 전세대출 차주들 '골치'…전세 대신 월세 택하기도
입력 2022-06-21 10:30  | 수정 2022-06-21 10:42
21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 사진=연합뉴스
전국 17개 시·도 모두 월세가 전세 '추월'

최근 금리인상에 따라 전세대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됐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고공행진 하는 가운데 미국을 비롯해 국내도 본격 금리 인상기가 도래한 만큼, 전세대출 이자 상승으로 차주들의 상황은 더 나빠질 전망입니다.

오늘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 4대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평균 금리는 5월 말 기준 연 3.26~5.35%로, 이미 5%대를 돌파했습니다. 지난해 8월 말(연 2.71~3.64%)과 비교하면 2%포인트가량 오른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8월 0.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달 1.25%로 끌어올린 데 따른 영향입니다.

하지만 대출 금리가 더 오를 전망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기준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98%로, 전월 대비 0.14%포인트 올랐습니다. 이는 2019년 1월(1.99%) 이후 약 3년 만에 최고치입니다. 코픽스가 오르면서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도 지난 16일 기준으로 일제히 올랐습니다. KB국민은행은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연동된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3.40~4.60%로 전날보다 0.14%포인트 올렸습니다.

여기에 최근 시장금리도 오르면서 추가 대출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전세자금 대출로 활용되는 금융채 2년물은 지난 17일 연 3.862%로 6영업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해당 기간에 금리 상승 폭은 0.626%포인트에 달합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이번 달 한 번에 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가운데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추가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Fed의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기존 0.75~1.0%포인트에서 0~0.25%포인트로 크게 줄었습니다. 만약, 국내 기준금리는 변동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이 한 번에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만 단행하더라도 오히려 미국의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0.25~0.5%포인트 높은 상태로 역전됩니다.

금리가 역전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가치 하락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감안하면 국내도 금리를 빠르게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은이 7월 빅 스텝에 이어 8·10·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추가 인상해 연말 기준금리가 3.0%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올 8월부터 전세계약갱신청구권 만료로 전세 매물이 시장에 풀리게 됩니다.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보증금액을 올릴 수 있는 금액이 5%로 제한되어 있던 임대인들은 4년 후의 시세를 반영해 더 높은 보증금액으로 매물을 내놓았습니다. 이중, 삼중 시세가 형성되어 전세보증금의 폭등을 야기해왔습니다.

이러한 전망에 전세 대신 월세를 택하는 흐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에서 이뤄진 임대차 거래 중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을 모두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4월 경기와 인천을 비롯해 광주, 대전, 충북, 전남, 전북 등에서 월세 거래량이 전세에 못 미쳤지만 5월에는 이들 지역 모두 월세가 전세를 추월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전국 17개 시·도에서 이뤄진 전체 임대차 거래량은 34만8066건(20일 기준)입니다. 이 중 전세거래량은 14만6954건이고, 월세거래량은 20만1112건으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57.8%로 전세를 넘어섰습니다.

월세 매물정보 붙어있는 부동산 중개업소. / 사진=연합뉴스

김선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당분간 전·월세 거주 선호도는 높을 수밖에 없다"며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 대출금리도 추가 상승할 예정인 만큼, 전세의 월세 전환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임대차 3법 시행 2년을 앞두고 전세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임대료 인상을 최소화하는 상생임대인에 대한 혜택을 확대하는 등 임차인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원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