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시장 판박이' 경매 시장도 흔들…낙찰률 낙찰가율 모두 최저
입력 2022-06-09 17:16 
서울중앙지방법원 입찰법정 모습 [사진 = 이충우 기자]

지난달 10일 시행된 양도세 중과 한시 배제 조치를 전후한 매매 시장의 매물 적체와 호가 하락 영향으로 부동산 경매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잇딴 기준금리 인상도 경매 참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꼽힌다.
9일 지지옥션의 경매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586건의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 가운데 679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42.8%로, 전달(49.2%) 대비 6.4%포인트 떨어졌다. 낙찰가율은 전월(97.9%) 대비 3.6%p 하락한 94.3%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들어 월별 기준 가장 낮은 아파트 낙찰률과 낙찰가율이다.
평균 응찰자수도 지난달(8.0명)보다 소폭(0.8명) 줄어든 7.2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 아파트는 낙찰률이 35.6%로, 전달(55.3%) 보다 무려 19.7% 포인트 급락했는데 2016년 2월(35.1%) 이후 6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낙찰가율은 전월(105.1%) 대비 8.3% 포인트 떨어진 96.8%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수는 올해 들어 가장 적은 3.8명으로 집계됐다.

경기도 아파트 경매 지표도 일제히 하락했다. 낙찰률은 54.6%로, 전월(55.3%)보다 0.7% 포인트 하락했고, 낙찰가율은 93.7%로 전월(100.6%)과 비교해 6.9%p 낮아졌다. 평균 응찰자 수는 9.3명으로 전달(12.3명)보다 3.0명 줄었다.
인천은 아파트 낙찰률(42.6%)이 전월(42.3%)보다 0.3% 상승했으나, 낙찰가율은 96.8%로 전달(108.4%)보다 11.6% 포인트 떨어졌다. 평균 응찰자수도 6.6명으로 전월(5.4명)보다 1.2명 늘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