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도 지역간 가격 격차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 한강이북과 한강이남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 역시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15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가 즐비한 한강이남은 대출규제와 금리인상의 영향이 적은 반면, 중저가 아파트가 비교적 많은 한강이북의 경우 체감 정책 효과로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8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7년 5월 한강이북(14개 자치구)과 한강이남(11개 자치구)의 중형 아파트(전용 85㎡초과~102㎡이하) 평균매매가격은 각각 5억7872만원, 9억391만원으로 두 곳의 가격 격차는 3억2519만원이었다. 그러나 올해 5월 두 곳의 중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가 약 7억원(강북 11억9893만원, 강남 18억9970만원)까지 벌어졌다.
매매가뿐만 아니라 평균전세가격도 비슷한 상황이다. 같은 기간 한강이북과 한강이남의 중형 아파트 평균전세가격 차이는 각각 9175만원(강북 4억744만원, 강남 4억9919만원)에서 2억9847만원(강북 6억 3386만원, 강남 9억3233만원)으로 확대됐다.
한강이북과 한강이남의 아파트 가격 차이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 정부의 보유세 등 규제 완화 혜택이 다주택자보다 1주택자에게 집중되면서 강남 등 서울에서도 입지가 뛰어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현상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새 정부에서도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풀리지 않으면서 다주택자들이 선호도가 떨어지는 주택을 처분하고 역세권, 한강변, 우수학군 등의 입지가 뛰어난 곳으로 몰리고 있다"며 "앞으로 한강이북과 한강이남의 집값 편차는 더 벌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