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로 바닥에 매설된 무선충전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 전기버스'를 도입한다. 서울시내 나눔카, 전기버스로의 확대 도입도 논의중이다.
서울시는 7일 남산순환버스와 청계천 차율주행버스를 대상으로 '급전무선충전' 기술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정류장이나 도로 바닥에 무선충진기를 매설하면, 이 설비를 통해 정차한 차량에 부착된 충전장치가 주파수를 받아 충전되는 방식이다. 충전 케이블이 따로 없고, 별도 충전기 조작도 필요없다. 거동이 불편한 운전자도 쉽게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서울시는 이 기술을 지난 2011년 서울대공원을 순환하는 '코끼리 열차' 3대에 세계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2.2km의 순환도로만 달릴 수 있었다. 남산순환버스 등에 적용되는 이번 차량은 150kWh이상 대용량 급속충전이 가능한 모델이 장착된다. 전기 대형버스 기준으로 6분 충전하면 21km 이상을 운행할 수 있다.
남산순환버스의 경우 남산타워 정류소와 차고지 바닥에 무선충전기가 설치돼, 운전사가 휴게시간에 정차하면서 차량이 자동으로 충전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올해 하반기 도입되는 청계천 자율주행버스는 회차 지점인 청계광장 정류소 도로에 무선충전기가 설치된다. 승하차 대기 시간에 충전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특히 이번 시범사업 운영결과 평가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와 나눔카, 전기버스 등에 기술을 추가적으로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박제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