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WHO '원숭이두창 확산' 원인으로 부실관리된 의료폐기물 꼽아
입력 2022-06-03 09:12  | 수정 2022-06-03 09:13
'원숭이두창 양성'이라고 적힌 시험관 / 사진=연합뉴스
의료폐기물에 접근한 설치류가 확산 증폭 원인일 가능성 제기돼
WHO "이대로면 아프리카 아닌 타 대륙에서도 풍토병 될 위험 있어"


원숭이두창 청정지역이었던 유럽에서도 최근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바이러스 확산의 원인이 의료폐기물 부실 관리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습니다.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야생동물 분과의 윌리엄 카레시 대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최한 언론 브리핑에서 원숭이두창의 타 대륙 확산이 의료폐기물에 접근한 동물들 때문일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처럼 의료 폐기물을 문 설치류가 이동함에 따라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교외 지역 병원에서 의료폐기물을 야외에 방치했을 경우 이 가설이 실제로 일어났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카레시 박사는 그러면서도 어떤 종을 통해 감염이 시작됐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원숭이두창은 원래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만 감염사례가 보고된 풍토병으로 1958년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다람쥐와 쥐 등 다른 동물들도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람이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사례는 1970년 처음 보고됐으며, 이후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감염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사람이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천연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가장 많은 감염자가 나온 곳은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확진자가 나온 나이지리아입니다.

지난달 7일 유럽 내에서는 처음으로 영국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보고됐고, 이후 유럽과 미국, 중동, 호주 등 타 대륙들에서도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WHO의 발표에 따르면 1일까지 비풍토병 지역 30여 개국에서 550건 이상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으며, 전문가들은 아프리카 여행을 다녀오지 않은 이들이 연이어 원숭이두창에 감염되자 그 원인을 규명 중입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동물들에게 퍼질 경우 아프리카 외 대륙들에서도 풍토병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