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돼지고기 등 육류 가격 급등…사룟값 인상·국제 공급망 불안 때문
입력 2022-05-15 14:00  | 수정 2022-05-15 14:03
서울 마포구의 한 재래시장 정육점 / 사진=연합뉴스
한우 가격, 홀로 하락세… ‘소값 파동’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육류 가격이 급등하며 밥상 물가에 또다시 비상등이 켜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여파에 따른 사료용 곡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육류 가격 급등은 앞으로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15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미국산 냉동 갈비 100g은 4400원으로 1년 전(2474원)에 비해 77.8% 급등했습니다. 같은 기간 호주산 냉동 갈비 역시 87.2% 올랐습니다. 코로나19가 발발하며 물류 대란과 사료 가격, 인건비 급등으로 인한 사육 비용 증가가 가격 폭등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수입육 가격이 오르자 국산 돼지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일 기준 ㎏당 4847원이었던 돼지(탕박) 도매가격은 12일 7356원으로 51.8% 올랐습니다. 이중 인기 부위인 삼겹살의 소비자 가격은 100g당 2750원을 넘어서며 40여 일만에 18% 이상 올랐습니다.

한국 1인당 육류 소비량은 54.3㎏(2020년 기준)으로 20년 전(31.9㎏)에 비해 70% 이상 늘었습니다. 이처럼 한국인의 육류 섭취가 늘어난 가운데 육류 가격 상승은 밥상 물가 부담 증대로 이어진 것입니다.


소비자들이 직접 체감하는 대형마트 물가도 1년 새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A대형마트에서는 국산 냉장 삼겹살 100g 가격은 2980원으로 1년 전(2380원)보다 25.2% 올랐습니다. 미국산 척아이롤 600g은 1만4480원으로 45.1% 올랐습니다.

매체에 따르면 한 대형마트 축산 바이어는 사료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져 전반적으로 육류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발(發) 물류 대란과 환율 고공행진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입육 가격이 오르자 최근에는 국산 돼지 가격도 요동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추가적인 가격 상승 요인도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통상적으로 여름철에는 캠핑 수요 등이 늘어나며 삼겹살 가격이 가장 비싸게 형성됩니다. 축산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2년간 움츠렸던 소비자들이 밖으로 나서면서 수요가 더 가파르게 증가해 가격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도 육류 가격 인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대표적인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의 전쟁 여파로 사료용 곡물 가격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이와 함께 삼겹살과 같이 먹는 쌈채소 가격도 함께 급등하는 추세입니다.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에 따르면 도매시장에서 이번 달 깻잎 평균 가격은 ㎏당 7664원으로 전년 동월(5163원) 대비 48.4% 올랐습니다. 평년 5월 가격(4289원)과 비교하면 78.7% 오른 것입니다.

풋고추 가격 또한 올랐는데 지난 13일 기준 ㎏당 풋고추 도매 가격은 3455원으로 전주 평균 가격 대비 15.9%, 전년 동월 대비 23.9% 올랐습니다. 산지 재배면적 감소로 인한 공급 부족이 가격을 상승시킨 것입니다.

이렇게 축산물 가격은 급등하고 있지만 한우 가격은 홀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달 한우 지육 평균 도매가격은 ㎏당 1만 9312원으로 6개월 전(2만 1224원)에 비해 9.0%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한우 가격 ‘디커플링(탈동조화)은 한우 가격이 오르자 농가들이 앞다퉈 사육두수를 늘려 일어난 현상입니다. 지난 3월 기준 전국 농가의 한우 사육두수는 338만 8000마리로 2년 전(303만 8000마리)에 비해 11.5% 늘었습니다.

내년 말 한우 사육두수는 361만 마리에 달할 전망이지만, 국내 시장 규모를 고려해 업계에서 보는 적정 사육두수는 290만~300만 마리입니다. 공급 과잉 상태로 앞으로 가격이 더 내려갈 가능성이 큰 것입니다.

한우 가격이 평년 수준으로 내려가는 것은 농가에게 큰 위기입니다. 한우 판매 가격은 하락하지만 사료값은 올라 사육 비용 부담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축산업계에선 지난 2012년 한우 가격 폭락으로 농가들이 줄도산 위기에 내몰렸던 ‘소값 파동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