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지방광역시에서 대단지 아파트 공급 부족이 극심해지고 있다. 서울은 올해 분양된 22곳의 대단지 아파트 중 단 두 곳밖에 분양되지 않았다. 분양업계에선 신규 택지 확보 자체가 어려운데다가 재개발·재건축은 분양까지 보다 긴 시간이 소요돼 대단지 아파트 품귀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는 전국에 22곳이 공급됐는데 이 중 서울에 위치한 단지는 '북서울자이폴라리스' 등 두 곳에 그쳤다. 수도권인 인천을 제외한 지방광역시로 범위를 넓혀도 부산과 대전에서 총 3개 단지에 불과했다.
지난해 역시 전국에 총 72개 대단지 아파트가 공급됐는데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에 들어선 단지는 23개에 그쳤다. 이마저도 인천과 대구에만 20개 단지가 몰렸고 서울은 한 곳뿐이었다. 1년 넘게 서울과 광역시에 대단지 분양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인천에 대단지 아파트 공급이 활발할 수 있었던 배경은 검단, 송도 등 신도시에서 대규모 신규 택지 개발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반대로 보면 서울을 비롯해 대다수 광역시는 더 이상 새로운 대규모 택지를 찾기 어려워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재건축·재개발에서 대단지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 경우 신규 택지 개발보다 공급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단지 가뭄 현상은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서울은 올 상반기 분양 최대어로 꼽혔던 둔촌주공이 공사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한 것이 대표적이다. 기존에도 5930가구 초대형 단지였던 둔촌주공은 재건축을 거쳐 1만2032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대단지의 경우 커뮤니티·편의시설이 탄탄하고 관리비가 적은 이유 등으로 인기가 높다"며 "인구가 밀집한 서울과 광역시는 수요자들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분양을 진행한 대단지 아파트로는 계룡건설 컨소시엄의 대전 동구 '리더스시티 5블록'(2135가구), 현대엔지니어링의 서울 중구 '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1022가구) 등이 있다.
[이석희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는 전국에 22곳이 공급됐는데 이 중 서울에 위치한 단지는 '북서울자이폴라리스' 등 두 곳에 그쳤다. 수도권인 인천을 제외한 지방광역시로 범위를 넓혀도 부산과 대전에서 총 3개 단지에 불과했다.
지난해 역시 전국에 총 72개 대단지 아파트가 공급됐는데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에 들어선 단지는 23개에 그쳤다. 이마저도 인천과 대구에만 20개 단지가 몰렸고 서울은 한 곳뿐이었다. 1년 넘게 서울과 광역시에 대단지 분양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인천에 대단지 아파트 공급이 활발할 수 있었던 배경은 검단, 송도 등 신도시에서 대규모 신규 택지 개발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반대로 보면 서울을 비롯해 대다수 광역시는 더 이상 새로운 대규모 택지를 찾기 어려워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재건축·재개발에서 대단지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 경우 신규 택지 개발보다 공급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단지 가뭄 현상은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서울은 올 상반기 분양 최대어로 꼽혔던 둔촌주공이 공사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한 것이 대표적이다. 기존에도 5930가구 초대형 단지였던 둔촌주공은 재건축을 거쳐 1만2032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대단지의 경우 커뮤니티·편의시설이 탄탄하고 관리비가 적은 이유 등으로 인기가 높다"며 "인구가 밀집한 서울과 광역시는 수요자들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분양을 진행한 대단지 아파트로는 계룡건설 컨소시엄의 대전 동구 '리더스시티 5블록'(2135가구), 현대엔지니어링의 서울 중구 '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1022가구) 등이 있다.
[이석희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