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 중대형 타입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중소형보다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이는데다, 공급 물량마저 부족한 탓에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각종 부동산 세금 규제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 현상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실수요자들의 발길이 중대형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0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에 공급된 아파트는 총 16만 3102가구로, 이 중 중대형(전용 85㎡초과) 아파트는 1만 4879가구로 9.12%에 불과했다. 10년 전인 2012년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공급 비율이 32.30%인 것과 비교하면 공급이 크게 줄었다.
연도별로 보면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공급의 희소성을 더욱 알 수 있다.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비율은 △2013년 26.02% △2014년 13.42% △2015년 18.69% △2016년 11.61%로 두자리수를 유지했다. 그러나 2017년 8.11%로 떨어지더니 △2018년 9.15% △2019년 6.75% △2020년 6.36% △2021년 9.12%로 한 자리 수를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공급 비율
이는 2015년부터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타며 집값이 계속 오르자 가격 부담으로 중소형을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건설사 입장에서도 수도권의 한정된 부지에서 최대한 이익을 위해 인기 평면을 선보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아파트 세금 부담으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있는데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실수요자들이 더 넓은 공간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중대형 인기가 되살아나기 시작했다.실제 부동산R114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21년 2월~2022년 2월) 중대형(전용 85㎡ 초과) 아파트값은 1억 5462만원(11억 5560만원→13억1022만원)올랐다. 같은 기간 중소형(전용 60~85㎡ 이하) 이 1억1768만원, 소형(전용 60㎡ 이하)이 9385만원 오른 것과 비교하면 상승폭에 차이가 난다.
개별 단지를 두고 봐도 중대형 아파트의 상승세가 뚜렷하다. KKB부동산에 따르면 인천 연수구 '송도 더샵 퍼스트파크 F15블럭'은 단지 내 전용 59㎡B 평균 매매 가격은 8억 7000만원으로 지난해 동월(7억 3500만원) 대비 18.37% 증가했지만, 중대형 타입인 전용 108㎡의 매매 가격은 같은 기간에 31.30%(11억5,000원→15억 1000만원) 증가했다. 또한 서울 종로구 홍파동 '경희궁 자이 2단지' 역시 최근 1년새 중대형 타입의 가격 상승률(18.75%)이 중소형(8%) 대비 더 컸다.
건설사들도 수도권에서 중대형 아파트를 잇다라 공급하며 수요자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다. 현대건설은 인천 연수구 송도동에서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4차'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총 공급 가구 수 1319가구 중 절반 수준인 632가구가 전용면적 85㎡ 초과의 중대형 타입이다. 현대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일원에서도 '힐스테이트 몬테로이'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총 3731가구 중 273가구가 전용면적 85㎡ 초과의 중대형 타입이다.
신영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 3지구 A42 블록에서 '신영지웰 운정신도시'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총 공급 가구수 606가구 중 274가구가 전용면적 85㎡ 초과의 중대형 타입이다. 제일건설은 3월,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AB18블록에서 '제일풍경채 검단 2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총 1,734가구 중 537가구가 전용면적 85㎡ 초과의 중대형 타입이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