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반응 회의적…'1달에 1번 공시, 변동 배달비 반영 불가'
치솟는 배달비를 잡겠다며 정부가 내놓은 '배달비 공시제'가 지난 25일부터 시행됐습니다. 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음식을 주문하더라도 어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쓰느냐에 따라 배달비가 최고 5,500원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배달비 공시제'는 국내 3대 배달 앱(배달의민족·요기요 ·쿠팡이츠)의 배달비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해 인하 경쟁을 하겠다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그런데 제각기 다른 배달비 산정 기준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은 데다 뒷북 조치에 불과해 당초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벌써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이번 달 12~13일 서울 25개구별 각 1개 동에서 소비자가 부담하는 치킨·떡볶이 배달비를 조사해 결과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각 배달앱에서 공통으로 검색된 음식점에 최소 주문액으로 주문한 뒤 같은 장소로 배달을 시켰습니다.
이때 배달비 차이가 최고 5,500원까지 벌어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서울 중랑구 떡볶이를 2~3㎞ 이내의 거리에서 주문하자 단건 배달을 하는 배민1이 7,500원으로 가장 비쌌고, 쿠팡이츠는 6,000원, 요기요는 2,000원이 나온 것입니다.
배달비가 세 앱에서 모두 동일한 경우는 39건으로, 전체 129건 중 30%에 불과했습니다. 이때 배달 거리가 3km 미만이면 대부분 3,000원을 책정하고 있었습니다. 3km가 넘으면 배민1과 쿠팡이츠는 6,000원으로 책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요기요는 5,000원, 배달의민족은 2,000원부터 5,500원까지 다양했습니다.
정부의 배달비 공시제가 곧장 배달비 인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배달비를 실시간이 아닌 한 달에 한 번 공시하는 방식인데다 구체적인 배달비 산정 방식을 파악하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한국소비자협의회는 "각 앱들은 총 배달비가 거리, 시간, 날씨, 주문 금액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안내글을 제시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 얼마 추가되는지 명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배달비 공시제가 도입된 배경은 최근 배달비가 급격하게 올라 소비자 부담을 키운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이에 정부는 배달앱 별 배달비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들어 소비자 합리적 선택을 돕고 배달 플랫폼 가격 인하 경쟁을 유도하겠는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업계 반응은 여전히 회의적입니다. 한 달에 한 번 공시하는 수치로는 여러 요인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배달비를 반영할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각 배달 플랫폼에서 최저 배달료 순으로 업체를 나열하는 필터링을 갖춘 상황에서 공시를 들여다볼 소비자들이 얼마나 될지 또한 미지수입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