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섭취한 실험용 쥐, 사회성 감소·강박적 반복적 행동 보여
우리나라 연구진이 미세플라스틱이 자폐 장애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내 화제입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오늘(17) "방사선의학연구소 김진수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실험 쥐 연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보통 '자폐증'이라 말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영유아에게서 발병하는 난치성 신경 발달장애로 사회관계 형성이나 정서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반복적으로 집착, 혹은 제한된 관심만을 보이는 이상 행동을 하는 질환입니다. 이에 대한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태아기, 수유기, 청소년기, 장년기 등 모든 연령대의 실험용 쥐한테 병뚜껑이나 비닐, 지퍼백 등에 쓰이는 폴리에틸렌 미세 플라스틱을 2주에서 12주 동안 먹였습니다. 그리고 해당 쥐들에게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은 가장 먼저 사회성을 알 수 있는 3챔버 테스트로 행동 실험을 했습니다. 3챔버 테스트란 서로 연결된 3개의 방 중 하나에 실험용 쥐를 넣고, 다른 2개의 방에 각각 낯선 쥐와 친한 쥐를 넣은 뒤 실험용 쥐가 어느 쪽으로 이동해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거나 관심을 보이는지 수치화한 다음 사회성 지수를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연구 결과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한 모든 연령대의 실험용 쥐들은 사회성이 감소하고 강박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됐습니다. 또한, 해당 쥐들의 사회성 지수는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지 않은 쥐에 비해 50% 가까이 낮게 나왔다고 했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임신한 쥐에게 2주일 동안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니 출산한 새끼 쥐한테도 생후 4주 뒤 자폐 장애 증상이 나타났다"며 유전적 연관성이 입증됐음을 알렸습니다.
이때 뇌 조직 분석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침투한 것이 발견됐습니다. 청소년기 쥐의 뇌를 관찰하니 뇌에 미세플라스틱 파편이 침착돼 있었던 것입니다. 뇌 유전자 분석에서는 자폐 장애 환자와 동일한 유전자가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김진수 선임연구원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먹이 사슬을 거쳐 식탁에 다시 오르는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자폐 장애뿐 아니라 다른 난치성 질환과 미세플라스틱의 관련성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