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전문가들, 원가 분석 인용해 "1세트 비용 18달러 불과하다" 지적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 백신과 마찬가지로 저개발국의 '보급 소외' 문제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CNN 방송은 현지시간으로 어제(16일) 미국의 제약회사 머크앤드컴퍼니가 개발하고 있는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를 두고 이같은 우려를 전했습니다.
항바이러스제인 몰누피라비르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긴급 사용 승인을 요청한 상태로 알려졌으며, 전문가들은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 사태를 해결할 '게임 체인저'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몰누피라비르는 정맥 주사 형태의 기존 항체치료제 '렘데시비르'와 달리, 알약 형태로 복용이 쉽다는 특징으로 인해 백신과 함께 '위드 코로나(코로나 일상)'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만일 승인이 이뤄질 경우 최초의 먹는 코로나19 항체 치료제가 출시되는 셈입니다.
그러나 지구촌 움직임을 보면 저소득 국가들은 코로나 백신처럼 치료제 확보에 뒤처질 수 있는 상황이며, '가격'이 가장 큰 문제로 떠오릅니다.
미국은 몰누피라비르가 승인될 경우 170만 세트를 사기 위해 12억 달러(약 1조4천억원)를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이 계약한 가격은 1세트에 700달러(82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계산되고, 한 세트는 200mg 캡슐 4정을 하루에 두 번, 5일 동안 총 40알 복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빈곤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일 수 있겠습니다.
반면 CNN은 전문가들의 원가 분석을 인용해 몰누피라비르 1세트의 비용이 18달러(약 2만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비용을 분석한 즈니타르 고담 연구원은 의약품 개발 시 제약회사가 약에 많은 이익을 붙이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이번의 경우 미국이 약 개발에 자금 지원을 했기 때문에 높은 가격에 더 놀랐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몰누피라비르를 개발한 머크 측은 지난 6월 공문을 통해 나라마다 차등 가격제를 사용할 계획이라 전했으며, 104개 중소득 국가를 위해 복제약 생산 면허 계약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국경없는의사회의 리나 멘가니 남아시아 의약품접근캠페인 대표는 머크가 특허와 가격, 공급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현재 그는 특허 면제를 요청한 상태입니다.
미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상무이사인 레이철 코언은 "역사가 되풀이되도록 해선 안 된다"며 "같은 패턴에 빠져 백신을 두고 저지른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고, 코언 이사는 보건 수단은 공공재로 취급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가 치료와 관련 국수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보았습니다.
또한 호주 국립대의 감염병 전문가 산자야 세나나야크는 "자국만 보호하려고 하면 다른 나라에서 백신을 피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이가 나올 수 있다"며 "코로나에서는 이기적이려면 이타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미 여러 나라는 앞다퉈 치료제 주문에 나서 쟁탈전을 예고했습니다.
영국의 과학분석업체 에어피니티에 따르면 현재 10개 국가가 머크와 몰누피라비르 구매 계약을 체결하거나 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 8개 국가가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 태평양 국가입니다.
CNN은 상대적으로 백신 도입이 늦었던 아시아 국가들이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먹는 치료제 확보에 서두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