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50회_봄철 산불 원인과 예방 요령
입력 2021-03-30 20:30  | 수정 2021-04-02 06:27
Q. 최근 산불 발생 현황?
홍천서 영농부산물 소각 추정되는 산불 발생
전북 부안, 입산자 실화로 추정되는 산불 발생
울산서 원인 미상 산불 발생, 60여 명 투입

Q. 봄철 양간지풍 특징?
봄철 강원·경북 북부, 양간지풍 현상 발생
양간지풍, 남고북저형 기압배치에서 발생
낙산사 산불 등 대형 화재의 원인되기도

Q. 정부 산불 대비책?
행정안전부, 관계부처와 산불 발생 대응 점검
산불재난 위기경보 수준, 주의 단계로 격상
산불취약지역 중심, 산불 감시?불법 소각 단속

Q. 봄철 들불 화재 주의보?
밭에서 쓰레기 태우다 산불 및 인명피해 발생
최근 5년간 들불 화재로 35명 사망
들불 화재의 주된 원인, 부주의·쓰레기 소각

Q. 논·밭두렁 태우기 효과 여부?
논·밭두렁 태울 시 불길 커져 인명피해 발생
논두렁 태우기, 해충 방제 효과 거의 없어
소각 필요할 땐 담당 부서 허가 받아야

Q. 논·밭두렁 태우면 과태료 조치?
산림인접지역에서 논두렁 태우기 금지
위반 시 100만원 과태료 부과
들불 났을 경우 대피 후 119 신고해야

Q. 올 봄 산불 발생 전망?
18일까지 대형 산불 특별 대책 진행
대형 산불 위험 지역, 진화 헬기 배치
4월 중순부터 산불 위험‘매우 높음지역 증가

Q. 산불 예방 위한 행동요령?
산행 전 출입 가능한 등산로 확인해야
성냥, 라이터 등 인화물질 소지 말아야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취사 가능

Q. 산불 주택가로 번질 경우 대처법?
집 주위 물 뿌리고, 인화성 높은 물질 제거
논, 밭, 학교, 공터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
산불 가해자 인지 땐 경찰서 등에 신고해야

Q. 산불 번질 경우 대처법?
바람 방향 감안해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불이 지나간 장소, 도로, 바위 등으로 대피
낮은 지역 찾아 낙엽 등을 긁어내고 엎드려야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