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등생 사망한 스쿨존 가보니…제한속도 50km에 화물차 '쌩쌩'
입력 2021-03-20 08:00  | 수정 2021-03-20 09:22
【 앵커멘트 】
그제(18일) 인천의 한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초등학생이 화물차에 치여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요.
취재진이 사고 현장을 가봤더니 제한속도가 시속 50km였습니다.
보통 어린이보호구역의 제한속도는 30km인데 말이죠.
어떻게 된 일인지 노승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집채만 한 화물차가 쉴 새 없이 지나갑니다.

이곳은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인천의 한 초등학교 앞 6차로 도로입니다.

이틀 전 11살 초등학생 A 양이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화물차에 치여 숨졌습니다.


그런데 보통 시속 30km인 어린이보호구역의 제한 최고속도가 이곳에선 50km였습니다.

1년 전 인천경찰청 관련 위원회의 결정 때문이었습니다.

▶ 스탠딩 : 노승환 / 기자
- "똑같은 어린이보호구역인데 큰 길이라는 이유로 제한 최고속도를 시속 30km에서 50km로 풀어준 겁니다."

현행 법규는 "어린이보호구역의 운행속도를 시속 30km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라고 규정할 뿐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엄마들은 이 때문에 언제든 사고가 되풀이될 수 있다고 걱정합니다.

▶ 인터뷰 : ○○초등학교 학부모
- "여기는 보호구역이라고 할 수가 없어요. 많이 위험하죠. 여기가 화물차도 너무 많고요."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스쿨존에 트럭을 다니게 하지 말아달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올라왔습니다.

청원인은 "트럭에 치여 숨진 아이가 제 동생의 친구"라고 했습니다.

경찰은 사고를 낸 화물차 운전기사를 엄벌한다는 방침이지만, 그와 별개로 제한속도를 더 엄격히 제한하는 법규 개정이 시급해 보입니다.

MBN뉴스 노승환입니다. [ todif77@mbn.co.kr ]

영상취재 : 최영구 기자
영상편집 : 오광환

#MBN #인천스쿨존사고 #스쿨존제한속도 #스쿨존화물차 #노승환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