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상돋보기] 화천 산천어·호텔 요리를 집에서…'밀키트'의 진화
입력 2021-02-22 19:31  | 수정 2021-02-22 20:49
【 앵커멘트 】
코로나19로 집밥을 자주 먹게 되면서 반조리식품, 이른바 '밀키트'를 찾으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죠.
단순히 찌개와 조림류를 넘어 지역 특산물과 호텔 음식까지 밀키트로 나왔다고 하는데요.
진화를 거듭하는 밀키트의 세계를 권용범 기자가 세상돋보기에서 들여다봤습니다.


【 기자 】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우리집 식탁이 간편해지고 있습니다. 바로 식사세트를 뜻하는 밀키트 덕분인데요.저처럼 요리를 잘 못해도 조리법만 따라하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갈수록 진화하고 있는 밀키트 시장을 지금부터 들여다보겠습니다."

- "딱 만들기 좋게 양이 딱 준비가 돼 있어요. 이제 썰어서 넣으면 돼요. 그렇죠?"

- "진짜 근데 비주얼이나 이런 거는 밖에서 사 먹는 것 같아요."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건 찌개와 조림류.

신선한 재료와 양념까지 들어 있어 끓이기만 하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날이나 색다른 음식을 먹고 싶을 때 호텔이나 유명 식당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먹을 수 있는 밀키트도 나왔습니다.

▶ 인터뷰 : 김인애 / 호텔 상품기획 담당
- "호텔의 음식을 직접 가정에서 간편하게 드실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어서 고객님들께서도 반응이 굉장히 좋은 편입니다."

지역 특산물을 밀키트로 만든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겨울철 대표 축제인 화천 산천어 축제가 취소되자, 강원도는 준비했던 산천어를 매운탕과 조림용 밀키트로 내놓았는데요.

판매를 시작한 지 보름도 되지 않아 준비된 물량이 모두 팔렸습니다.

포항 특산물 구룡포 과메기도 밀키트로 변신해 전국의 소비자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밀키트 제품 가운데 뱅쇼 밀키트를 직접 사봤습니다. 만드는 데 얼마나 걸릴지, 시간을 재면서 지금부터 만들어보겠습니다.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겨울철 유럽에서 즐겨 마시는 뱅쇼를 만드는 데 보시는 것처럼 15분이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간편한 조리법 덕분에 직장일로 바쁜 40~50대 밀키트 소비자 비중은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문정훈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 "조금 더 신선한 느낌의 음식을 먹고 싶다라고 하는 욕구, 이러한 것을 이제 채울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밀키트이고 고급화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지금 시장에서 느끼고 있습니다."

지난해 밀키트 시장 규모는 약 2천억 원으로 지난 2018년보다 무려 5배나 올랐는데, 오는 2024년에는 7천억 원에 달할 전망인데요.

요리의 맛부터 개인별 취향과 실속까지 챙길 수 있게 만든 밀키트의 진화가 과연 우리의 식문화를 어디까지 바꾸게 될까요.

세상돋보기 권용범입니다.
[ dragontiger@mbn.co.kr ]

영상취재 : 한영광 기자
그래픽 : 박성훈

#MBN #세상돋보기 #밀키트 #화천산천어 #구룡포과매기 #뱅쇼 #코로나19 #김주하앵커 #권용범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