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아내와 아들 두고 참전한 故손중철 일병, 71년 만에 귀환
입력 2021-02-18 09:53  | 수정 2021-02-25 10:05


아내와 아들을 두고 전쟁터로 나갔던 국군 용사의 신원이 유해 발굴 12년만에 확인됐습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경북 포항 지동리 일대에서 지난 2009년 6월 16일 발굴한 6·25 전사자 유해가 고(故) 손중철 일병으로 확인됐다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지난 2000년 4월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의 첫 삽을 뜬 후 161번째 신원 확인입니다.

6·25전쟁에 참전한 후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를 평생 그리워하던 고인의 아들 손태규(73) 씨는 2019년 우연히 TV에서 '6·25 전사자 유가족을 찾습니다'라는 문구를 봤고, 이후 국유단에 연락해 유전자(DNA) 시료 채취에 참여한 것이 신원 확인의 결정적 계기가 됐습니다.


1930년 1월 경북 안동시 일직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농사일하다가 1949년 19살에 아내를 만나 슬하에 아들 한 명을 뒀습니다.

가정을 이룬 기쁨도 잠시, 아내와 어린 외아들을 남겨 둔 채 참전한 고인은 국군 8사단 소속으로, 경북 영천 북방 보현산 전투(1950.8.13∼9.4) 중에 전사했습니다.

당시 8사단은 북한군 15사단을 저지하고자 보현산, 고모산, 수석봉, 봉화봉 일대에서 방어작전을 펼치다가 영천으로 철수했습니다.


전사한 지 59년 만에 해병 1사단 장병들에 의해 완전한 형태의 유해가 전투화 등 유품 7점과 함께 발굴됐습니다.

평생 남편이 돌아오길 간절히 염원했던 아내는 1995년 지병으로 세상을 떴습니다.

아들 손 씨는 "전사자 유가족 DNA 시료 채취를 통해 설마 아버지를 찾을 수 있을까 싶었는데 진짜 이렇게 아버지를 만나게 되니 그저 기쁨의 눈물만 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국유단은 유가족과 협의를 거쳐 신원 확인 결과 통보를 위한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한 후 고인의 유해를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입니다.

국유단 관계자는 "현재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4만5천여 명으로, 미수습 전사자보다 시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며 "유가족 시료를 확보해야만 유해와 유가족 유전자 검사를 통해 신원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아직 돌아오지 못한 국군 용사의 유가족(친·외가 8촌까지)은 인근 보건소, 보훈병원, 군 병원, 국유단(☎1577-5625)을 통해 DNA 시료 채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백길종 디지털뉴스부 기자 / 100road@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