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기 알바 자리도 귀하다…20대 임시·일용직 21.4만명↓
입력 2021-02-17 08:33  | 수정 2021-02-24 09:05

지난달 20대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1년 전보다 21만4천 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코로나19로 고용이 타격을 입으면서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단기 아르바이트 일자리마저 대폭 줄어든 것으로 풀이됩니다.

오늘(17일) 연합뉴스가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임시·일용 근로자는 499만5천 명으로 1년 전(579만 명)보다 79만5천 명(13.7%) 줄었습니다.

이들 가운데 20대 임시·일용근로자는 99만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달(121만1천 명)보다 21만4천 명(17.7%)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난달 줄어든 임시·일용직 가운데 4명 중 1명(26.9%)은 20대였던 셈입니다.

이 가운데 20대 임시근로자가 101만2천 명에서 86만1천 명으로 15만1천 명, 일용근로자가 19만9천 명에서 13만6천 명으로 6만3천 명 각각 줄었습니다.

통계청 분류에 따르면 임시직 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1년 미만이고 일용직 근로자는 계약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근로자를 뜻합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흔히 말하는 아르바이트도 임시·일용직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임시·일용직이 19만 명 감소했습니다. 50대에서도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13만1천 명 줄었습니다.

그 외 30대(7만9천 명), 10대(15~19세, 5만7천 명) 등 순이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임시·일용직 비중이 큰 대면 서비스 업종이 타격을 입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6만7천 명(17.7%) 줄었습니다.

이외 도·소매업(-21만8천 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0만3천 명) 등에서 취업자가 많이 줄었습니다. 특히 서비스업에서 줄어든 일자리는 89만8천 명에 달합니다.

정 과장은 "업종을 놓고 보면 숙박·음식점업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가장 크고, 그다음이 도소매업, 이외에 이·미용업이나 장례식장, 결혼식장 등 개인 서비스업이 타격을 입었다"면서 "(임시직 취업자 감소분은)그런 업종들에 있는 임시직들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자영업자 가운데에도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5만8천 명 줄었습니다.

최근 경영난이 이어지며 직원을 내보내고 혼자 일하는 업자들이 늘어난 여파로 풀이됩니다.

◇ 1월 연령별 임시·일용근로자 증감(단위:천명, %)


[디지털뉴스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