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매도 금지 재연장 후폭풍 ◆
한국 정부가 '공매도 금지' 재연장 조치를 발표하면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수 있다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
4일 블룸버그의 보도 내용은 이러한 기류가 글로벌 시장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공매도가 선진 주식시장에서는 모두 허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1년 이상 공매도 금지 국가'로 낙인찍혀 외국인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다. 이렇게 되면 국내 증시의 선진시장 진입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보유 규모 기준으로 볼 때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30%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을 갖고 있다.
당장 눈앞으로 다가온 것이 MSCI 신흥국지수 내 한국 비중 축소 가능성이다. 선진시장 진입은커녕 한국 비중 축소 가능성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기준으로 삼는 MSCI 지수는 공매도 금지 국가를 선진국지수에 포함시키지 않고, 공매도를 1년 이상 장기간 금지하면 국가별 비율을 조정하는 평가에서 감점 요인으로 삼는다. MSCI는 분기(2·8월), 반기(5·11월)마다 정기 변경을 실시한다. 5일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MSCI 반기 리뷰 시점(5월 13일) 이전에 한국 공매도가 재개된다"며 "외국인 투자금 이탈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달러가치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감을 더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달러 약세 기조 속에 한국 등 신흥국 증시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될 요인이 있었으나 달러가 강세를 띠면 한국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서 개인 수급이 추가로 확대되기가 힘든 상황이다 보니 외국인 자금이 변수"라면서 "기업 이익 개선은 증시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어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졌고 여기에 원화가치 하락까지 감안하면 이달에 추가 상승 모멘텀을 찾기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대비 원화가치가 1120원대 후반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 주식시장 내 외국인 투자금 비중은 시가총액 대비 30%를 살짝 웃도는 선이다. MSCI 신흥국지수 추종 자금 중 한국 비중은 13.4%인 약 35조3700억원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오는 10일은 지수·개별 종목 옵션 만기일인데 이를 전후해 외국인 선물·옵션 수급이 한국 증시 변동성 장세를 이끌 것으로 보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증권사 고위 관계자는 "공매도 금지 재연장은 외국인투자자들로서는 한국 증시 유입을 꺼리게 하는 요인"이라면서 "메자닌 펀드 등을 설정할 때 외국인은 항상 숏포지션(공매도 입장을 취하는 것)을 거는데, 이번 조치 때문에 기존 공매도 포지션을 통해 성립된 거래도 힘들어지게 돼 3월 중순 재개를 염두에 뒀던 외국인 입장에서는 정책 신뢰성 문제를 투자 리스크로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4일 외국인은 한국 증시 선물시장에서 1조9300억6100만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옵션시장에서는 하락에 베팅하는 풋옵션을 총 124억3732만원어치 순매수했고, 상승에 베팅하는 콜옵션은 35억7495만원어치 순매도했다.
호주 시드니 소재 펀드운용사 AMP캐피털의 나다르 네이미 최고시장전략가는 "한국 증시가 강세장인데도 공매도 금지를 연장한 건 놀라운 결정"이라면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시장 유동성이 급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 탓에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내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50% 수준에서 동결하는 등 시장 유동성을 불어넣은 상태지만 공매도 금지 재연장 조치는 이와 일부 상쇄하는 부작용을 불러 증시 하락 위험을 키운다는 분석에서다.
한편 공매도 재개가 증시에 부정적인지에 대해 미국 보스턴 소재 체인지브리지캐피털의 빈세 로루소 펀드매니저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그간 실제 데이터를 보면 공매도를 금지한다고 해서 시장 유동성이 늘거나 변동성이 줄어든다는 증거가 많지 않다"면서 "공매도 금지가 장기화하면 오히려 펀더멘털(기초체력)에 근거한 적정 주가 형성의 중요한 수단과 방법들이 시장에서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지난달 초까지 금융위는 직전 계획대로 3월 중순까지만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의견을 모아 시장에 신호를 줬는데 분위기가 급변했다"고 밝혔다.
공매도 논란 속에 정부가 공매도 금지 재연장을 발표한 지난 3일 삼성증권은 5일부로 신용융자 서비스를 다시 일시 중단했다. 이번주 재개했던 해당 서비스가 불과 일주일 만에 중단된 것은 그만큼 '빚투(빚 내서 투자)'에 나선 개인투자자들 수요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인오 기자 / 신유경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정부가 '공매도 금지' 재연장 조치를 발표하면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수 있다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
4일 블룸버그의 보도 내용은 이러한 기류가 글로벌 시장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공매도가 선진 주식시장에서는 모두 허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1년 이상 공매도 금지 국가'로 낙인찍혀 외국인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다. 이렇게 되면 국내 증시의 선진시장 진입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보유 규모 기준으로 볼 때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30%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을 갖고 있다.
당장 눈앞으로 다가온 것이 MSCI 신흥국지수 내 한국 비중 축소 가능성이다. 선진시장 진입은커녕 한국 비중 축소 가능성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기준으로 삼는 MSCI 지수는 공매도 금지 국가를 선진국지수에 포함시키지 않고, 공매도를 1년 이상 장기간 금지하면 국가별 비율을 조정하는 평가에서 감점 요인으로 삼는다. MSCI는 분기(2·8월), 반기(5·11월)마다 정기 변경을 실시한다. 5일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MSCI 반기 리뷰 시점(5월 13일) 이전에 한국 공매도가 재개된다"며 "외국인 투자금 이탈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달러가치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감을 더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달러 약세 기조 속에 한국 등 신흥국 증시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될 요인이 있었으나 달러가 강세를 띠면 한국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서 개인 수급이 추가로 확대되기가 힘든 상황이다 보니 외국인 자금이 변수"라면서 "기업 이익 개선은 증시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어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졌고 여기에 원화가치 하락까지 감안하면 이달에 추가 상승 모멘텀을 찾기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대비 원화가치가 1120원대 후반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 주식시장 내 외국인 투자금 비중은 시가총액 대비 30%를 살짝 웃도는 선이다. MSCI 신흥국지수 추종 자금 중 한국 비중은 13.4%인 약 35조3700억원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오는 10일은 지수·개별 종목 옵션 만기일인데 이를 전후해 외국인 선물·옵션 수급이 한국 증시 변동성 장세를 이끌 것으로 보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증권사 고위 관계자는 "공매도 금지 재연장은 외국인투자자들로서는 한국 증시 유입을 꺼리게 하는 요인"이라면서 "메자닌 펀드 등을 설정할 때 외국인은 항상 숏포지션(공매도 입장을 취하는 것)을 거는데, 이번 조치 때문에 기존 공매도 포지션을 통해 성립된 거래도 힘들어지게 돼 3월 중순 재개를 염두에 뒀던 외국인 입장에서는 정책 신뢰성 문제를 투자 리스크로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1~4일 외국인은 한국 증시 선물시장에서 1조9300억6100만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옵션시장에서는 하락에 베팅하는 풋옵션을 총 124억3732만원어치 순매수했고, 상승에 베팅하는 콜옵션은 35억7495만원어치 순매도했다.
호주 시드니 소재 펀드운용사 AMP캐피털의 나다르 네이미 최고시장전략가는 "한국 증시가 강세장인데도 공매도 금지를 연장한 건 놀라운 결정"이라면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시장 유동성이 급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 탓에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내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50% 수준에서 동결하는 등 시장 유동성을 불어넣은 상태지만 공매도 금지 재연장 조치는 이와 일부 상쇄하는 부작용을 불러 증시 하락 위험을 키운다는 분석에서다.
한편 공매도 재개가 증시에 부정적인지에 대해 미국 보스턴 소재 체인지브리지캐피털의 빈세 로루소 펀드매니저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그간 실제 데이터를 보면 공매도를 금지한다고 해서 시장 유동성이 늘거나 변동성이 줄어든다는 증거가 많지 않다"면서 "공매도 금지가 장기화하면 오히려 펀더멘털(기초체력)에 근거한 적정 주가 형성의 중요한 수단과 방법들이 시장에서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지난달 초까지 금융위는 직전 계획대로 3월 중순까지만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의견을 모아 시장에 신호를 줬는데 분위기가 급변했다"고 밝혔다.
공매도 논란 속에 정부가 공매도 금지 재연장을 발표한 지난 3일 삼성증권은 5일부로 신용융자 서비스를 다시 일시 중단했다. 이번주 재개했던 해당 서비스가 불과 일주일 만에 중단된 것은 그만큼 '빚투(빚 내서 투자)'에 나선 개인투자자들 수요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인오 기자 / 신유경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