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문 대통령, 북한에 "비대면 대화도 가능…방역·보건 분야부터"
입력 2021-01-11 10:42  | 수정 2021-01-18 11:03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한 번 북한에 대화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올해가 남북의 유엔 동시 가입 30주년"이라며, "한반도 평화와 번영이 국제사회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함께 증명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임기를 1년여 남긴 상황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흔들림 없는 의지를 재차 강조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전쟁이나 핵무기가 없는 평화의 한반도를 후손들에 물려주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맞춰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동시에 멈춰 있는 북미·남북대화에서 대전환을 이루도록 마지막 노력을 다하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 협력만으로 이룰 수 있는 일들이 많다며 가축전염병과 신종감염병, 자연재해를 언급했습니다.

방역과 보건, 안전 협력을 통해 남북이 '상생과 평화'의 물꼬를 트자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문 대통령은 "동북아 방역, 보건 협력체나 한-아세안 포괄적 보건의료 협력 등 역내 대화에 남북이 함께 참여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이어 "코로나처럼 남북 국민의 안전과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들에 대한 협력이 확장되면 통일의 길로 한 걸음씩 나아갈 수 있다"며 이를 위한 대화의 방식은 비대면이어도 가능하다고 밝혀, 사실상 비대면 회담 제안으로 해석될 여지도 남겼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의 '전쟁 불용', '상호 안전보장', '공동 번영'의 3대 원칙을 함께 이행하며 국제사회의 지지를 끌어내면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중심의 '평화·안보·생명공동체의 문이 활짝 열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띄어쓰기를 포함해 전체 8천여 자인 이번 신년사에서 북한과 관련된 내용은 830여 자로 전체의 10%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8800여 자 가운데 1700여 자로 전체의 20% 비중이었던 지난해와 비교해 절반으로 줄어든 분량입니다.

2032년 올림픽 남북 공동개최와 같은 내용도 올해는 빠졌습니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8차 대회에서 한국 정부에 남북합의를 충실히 이행하라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남북관계의 현 실태는 판문점 선언 발표 이전 시기로 되돌아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의 태도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에 3년 전 봄날처럼 남북관계가 새출발할 수 있다고 덧붙이며 관계 개선의 여지는 남긴 상태입니다.

[ 디지털뉴스부 신동규 기자 / easternk@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