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5G 끊김현상` SK텔레콤이 가장 적었다
입력 2020-12-30 11:06 
광화문 통신3사 속도측정 모습. [매경DB]

5G(5세대) 서비스가 끊겨서 LTE로 전환되는 불편함이 가장 적은 곳은 SK텔레콤인 것으로 조사됐다. 5G속도도 이동통신 3사 중에서 SK텔레콤이 가장 빨랐다. 다만 5G가 터지는 커버리지 면적은 LG유플러스가 단연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이용자들에게 유·무선 통신서비스의 커버리지와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사의 망 투자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품질평가는 상반기 평가에 이은 2번째 평가다. 상반기에는 서울과 6대 광역시만이 평가대상지역이었지만 하반기 평가에서는 전국 85개 시 주요 행정동이 모두 평가대상지역으로 포함됐다. 지난 8월 발표한 품질평가때보다 전반적인 커버리지, 다운로드 속도, 건물 내 사용환경 등이 개선됐지만, 사용자들이 가장 큰 불만을 토로하는 전환율(5G를 사용하다가 LTE로 전환되는 비율)은 KT가 오히려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85개 시에서 5G가 터지는 '커버리지' 면적은 통신사별로 LGU+가 6064.28㎢로 1위였다. SKT(5242.68㎢), KT(4920.97㎢) 순으로 나타났다. 백화점, 도서관, 공항, 대학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85개 시의 주요 다중이용시설 총 4516개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2792개(61.8%)로 나타났다. 이 시설 내에서 5G 서비스에 안정적으로 접속 가능한 면적 비율(실내 접속가능 면적 비율)은 90.99%로 상반기(67.93%) 대비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5G 이용이 가능한 전체 시설 수는 KT(4571개)가 가장 많았고, SKT(3814개)과 LGU+(2072개)가 뒤를 이었다.
5G 품질평가 결과, 이동통신 3사 평균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상반기(656.56Mbps)보다 향상된 690.47Mbps 수준이었다. 통신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 SKT 795.57Mbps(상반기 대비 6.60Mbps 증가), △ KT 667.48Mbps(15.38Mbps 증가), △ LGU+ 608.49Mbps(79.89Mbps 증가) 순으로 LGU+의 개선폭이 컸다. LGU+는 커버리지가 가장 넓음에도 다운로드 속도도 개선폭이 커 노력을 많이 했다는 평가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때 평균 5.49%(상반기 6.19%), 업로드 때 평균 5.29%(상반기 6.19%)였다. 통신사별로 보면 다운로드 때 △ SKT 3.95%, △ LGU+ 4.29%, △ KT 8.22% 순이었다. 전환율은 사람들이 5G 요금을 내고도 'LTE 우선모드'를 쓰게 만드는 가장 큰 불편요소다. KT의 경우 상반기 서울 및 6대 광역시 평가때는 전환율이 4.55%였지만 이번 전국 평가에서 전환율이 8.22%로 치솟아 투자를 소홀히 한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KT는 11월 평가대상기간에 구축이 덜 된 지역이 있었지만 12월에는 구축이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 중으로, 올해 5G에 대해 최초로 연 2회 품질평가를 실시, 통신사들의 경쟁적 투자를 촉진하여 커버리지 확대와 품질 제고에 노력 중이다"며 "모든 이용자들이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5G뿐만 아니라 LTE, WiFi 등의 서비스에 대해 도시 및 농어촌, 취약지역에서도 지속적인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통신사의 자율적인 품질 향상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품질평가 결과는 내년 초 스마트 초이스와 공공데이터포털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이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