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연일 1천명 안팎, 사망자 최다 기록 '비상'…주말쯤 3단계 논의
입력 2020-12-30 07:32  | 수정 2021-01-06 08:0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확산세가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는 양상입니다.

성탄절 연휴(12.25∼27) 직후 잠시 세 자릿수로 떨어졌던 신규 확진자 수는 다시 1천 명 선을 넘어 증가 추세로 돌아섰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연일 최다 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주말까지의 상황이 향후의 큰 흐름을 가를 것으로 보고 방역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와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이 동시에 끝나는 1월 3일까지 확산세가 잡히지 않을 경우 3단계 격상 압박은 다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동향을 지켜보면서 주말께 거리두기 단계를 다시 조정할 예정입니다.

오늘(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천46명입니다.

이달 중순 이후 신규 확진자는 연일 1천 명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최근 1주일(12.23∼29)만 놓고 보면 일별로 1천90명→985명→1천241명→1천132명→970명→808명→1천46명을 기록했습니다. 1천 명을 넘은 날이 4차례입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도 1천 명 안팎에 이를 전망입니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확진자는 904명입니다. 집계를 마감하는 밤 12시까지 더 늘어났을 숫자를 포함하면 최소 1천 명 내외, 많으면 그 이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매일 확진자가 대거 쏟아지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전날 0시 기준으로 집계된 하루 사망자는 40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유행 이래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일부는 사망 신고가 지연돼 뒤늦게 반영된 것'이라는 방역당국의 설명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사망자 증가세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인공호흡기,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 등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도 330명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60살 이상 환자는 288명으로, 전체의 87.3%를 차지합니다.

최근 들어 고령 환자가 급증한 것은 대표적 감염 취약시설인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 의료기관의 집단감염이 속출하는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실제 의료기관이나 요양시설에서 발생한 감염 사례는 11월 말부터 주별로 10건→12건→13건→6건 등으로 꾸준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집단감염이 발생해 방역당국이 현재 특별관리 중인 요양병원만 해도 수도권 5곳, 비수도권 12곳 등 총 17곳에 달합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서울 구로구의 요양병원 및 요양원과 관련해서는 전날까지 총 175명이 확진됐고, 광주 북구의 요양원 감염 사례에서도 사우나 및 집들이 모임 확진자를 포함해 총 59명이 감염됐습니다.


방역당국은 연말연시로 이어지는 이번 한 주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특별방역대책은 물론 수도권(2.5단계)과 비수도권(2단계)의 거리두기 조치가 1월 3일에 끝나는 만큼 그전까지 이들 조치의 효과가 나타나야 하기 때문입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전날 백브리핑에서 "지난주부터 1천 명 내외에서 확진자가 등락을 반복하고 있어 추이를 계속 지켜보고 있다"며 "주말까지 상황을 보면 확산세가 어떻게 갈지 예상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앞서 지난 27일 현행 거리두기 단계 연장 방침을 밝히면서 "연말연시 방역대책의 효과에 따라 둔화하고 있는 환자 증가세가 어떻게 변화할지 그 추이도 봐야 한다. 다음 1주 상황을 지켜보며 모든 거리두기 조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1월 3일 이전에 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역당국은 현 상황에서는 방역 대응을 어렵게 하는 '부정적' 요소가 더 많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하루 확진자 수가 1천 명 안팎에 달하는 상황에서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지 못하는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도 27.9%에 달해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여기에다 최근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에서 급속도로 확산 중인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도 확인된 터라 방역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무엇보다도 최근에 영국과 남아공에서 등장한 변이 바이러스야말로 언젠가는 전 세계적인 유행을 주도할 것이기에 전체적으로 코로나19 대응은 갈수록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라며 국민 개개인의 지속적인 방역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