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자가진단키트로 스스로" 이낙연에…정은경 "제품부터 개발돼야"
입력 2020-12-14 16:46  | 수정 2020-12-21 17:03

임신 테스트기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집에서 스스로 해보자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했으나 방역당국은 "제품 개발이 먼저"라며 시기상조라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오늘(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자가 진단을 하려면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나 도입이 전제돼야 한다"며 "좀 더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만약에 자가 진단을 하더라도 그건 선별검사의 역할을 하므로 거기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 검사를 받는 절차에 대해서는 검토를 해볼 수는 있지만, 일단은 검증된 자가 진단키트의 개발과 도입이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신속 진단키트를 통한 전 국민 코로나19 자가검사를 제안했습니다.


이 대표는 "국민 누구나 손쉽게 신속 진단키트로 1차 자가 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정밀검사를 받게 하면 어떨지 논의할 시기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신속 진단키트를 통한 자가 진단으로 기존 방역체계를 보완하는 방안을 당 정책위가 정부 및 전문가와 협의해 달라"고 지시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더불어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일반인들이 직접 사용하기엔 안전상 위험할 수 있고 부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현재 신속항원검사 제품은 국내에서 1개 제품이 정식 허가를 받은 상황"이라며 "일반인에게는 난도가 있고, 잘못할 경우에는 출혈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또 정확하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체 채취를 잘못해서 생기는 검사 결과의 오류가 분명히 있을 수 있다"고 부정적 견해를 밝혔습니다.

그는 "안전과 검사의 정확성을 위해 검체 채취를 훈련된 사람, 의료인도 의료인이지만 훈련된 사람이 하는 게 필요하다. 그런 숙련도가 있기까지의 시간이 좀 걸려서 반복적으로 검체 채취하는 검체 채취 의료인들이 훨씬 더 잘할 수 있다"며 "코로나19 검체 채취법이 좀 독특하기에 일반인이 스스로 본인의 검체를 채취하는 데는 안전이나 정확도 면에서는 좀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고 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