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이상철 기자
2020년 골든글러브 시상식은 ‘기록의 날이었다. 역대 최다 득표율이 18년 만에 깨졌으며 의미 있는 수상자도 나왔다.
11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2020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대미를 장식한 건 양의지(NC)였다.
포수는 10명의 황금장갑 주인공 중 가장 마지막으로 호명됐다. 양의지는 유효 342표 중 340표를 획득해 개인 통산 여섯 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박세혁(두산)과 장성우(kt)가 한 표씩을 얻어 사상 최초의 만장일치는 무산됐다.
득표율이 무려 99.4%였다. 마해영이 2002년에 작성했던 역대 최다 득표율(99.3%) 기록을 넘어섰다.
KBO리그 최우수선수(MVP) 멜 로하스 주니어(한신)보다 많은 지지를 받았다. 로하스는 309표를 받아 득표율 90.4%를 기록했다.
이견이 없다. 양의지는 올해 KBO리그 최고의 선수 중 1명이었다. KBO리그 130경기에 출전해 타율 0.328 151안타 33홈런 124타점 86득점 장타율 0.603 출루율 0.400 OPS 1.003을 기록했다.
특히 공룡 군단의 주장으로서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이에 그는 올스타전 및 한국시리즈 MVP에 이어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까지 수많은 상을 휩쓸었다.
2014년부터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은 양의지의 이름으로 도배됐다. 2017년만 강민호(삼성)가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을 차지했다.
이로써 양의지는 총 6회로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최다 수장 단독 2위가 됐다. 이만수 강민호(이상 5회)를 넘었다. 앞으로 한 번만 더 받으면, 김동수(7회)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양의지와 더불어 3년 연속 시상대에 선 이가 2명 더 있다. 키움의 김하성(유격수)과 이정후(외야수)다.
김하성은 김재박(1983~1986년) 강정호(2012~2014년)에 이어 세 번째로 3년 연속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가 됐다.
이정후 또한 고 장효조를 비롯해 박재홍 이병규에 이어 역대 외야수 중 네 번째로 데뷔 4년차에 골든글러브 3회 수상의 진기록을 세웠다.
‘새 얼굴도 있었다. 투수 부문 라울 알칸타라, 1루수 부문 강백호(kt), 3루수 부문 황재균(kt)는 처음으로 황금장갑을 들고 포토타임을 가졌다.
누구보다 특별한 감정을 느낀 건 ‘15년차 황재균이다. 2006년 프로에 입문한 그는 오랜 시간 끝에 최고의 3루수 자리에 올랐다. 3루수는 가장 경합이 치열한 포지션이었다. 황재균은 168표를 얻어 131표의 허경민(두산)을 37표 차로 제쳤다.
구단 별로는 kt가 강백호 황재균 로하스 등 3명으로 가장 많은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했다. kt가 한 시즌에 복수의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NC(양의지 박민우)와 키움(김하성 이정후)가 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두산은 3년 연속 외국인 선수가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첫 번째 구단이 됐다. 롯데, 삼성, SK, 한화 등 7~10위는 ‘들러리 신세였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년 골든글러브 시상식은 ‘기록의 날이었다. 역대 최다 득표율이 18년 만에 깨졌으며 의미 있는 수상자도 나왔다.
11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2020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대미를 장식한 건 양의지(NC)였다.
포수는 10명의 황금장갑 주인공 중 가장 마지막으로 호명됐다. 양의지는 유효 342표 중 340표를 획득해 개인 통산 여섯 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박세혁(두산)과 장성우(kt)가 한 표씩을 얻어 사상 최초의 만장일치는 무산됐다.
득표율이 무려 99.4%였다. 마해영이 2002년에 작성했던 역대 최다 득표율(99.3%) 기록을 넘어섰다.
KBO리그 최우수선수(MVP) 멜 로하스 주니어(한신)보다 많은 지지를 받았다. 로하스는 309표를 받아 득표율 90.4%를 기록했다.
이견이 없다. 양의지는 올해 KBO리그 최고의 선수 중 1명이었다. KBO리그 130경기에 출전해 타율 0.328 151안타 33홈런 124타점 86득점 장타율 0.603 출루율 0.400 OPS 1.003을 기록했다.
특히 공룡 군단의 주장으로서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끌었다. 이에 그는 올스타전 및 한국시리즈 MVP에 이어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까지 수많은 상을 휩쓸었다.
2014년부터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은 양의지의 이름으로 도배됐다. 2017년만 강민호(삼성)가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을 차지했다.
이로써 양의지는 총 6회로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최다 수장 단독 2위가 됐다. 이만수 강민호(이상 5회)를 넘었다. 앞으로 한 번만 더 받으면, 김동수(7회)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양의지와 더불어 3년 연속 시상대에 선 이가 2명 더 있다. 키움의 김하성(유격수)과 이정후(외야수)다.
김하성은 김재박(1983~1986년) 강정호(2012~2014년)에 이어 세 번째로 3년 연속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가 됐다.
이정후 또한 고 장효조를 비롯해 박재홍 이병규에 이어 역대 외야수 중 네 번째로 데뷔 4년차에 골든글러브 3회 수상의 진기록을 세웠다.
‘새 얼굴도 있었다. 투수 부문 라울 알칸타라, 1루수 부문 강백호(kt), 3루수 부문 황재균(kt)는 처음으로 황금장갑을 들고 포토타임을 가졌다.
누구보다 특별한 감정을 느낀 건 ‘15년차 황재균이다. 2006년 프로에 입문한 그는 오랜 시간 끝에 최고의 3루수 자리에 올랐다. 3루수는 가장 경합이 치열한 포지션이었다. 황재균은 168표를 얻어 131표의 허경민(두산)을 37표 차로 제쳤다.
구단 별로는 kt가 강백호 황재균 로하스 등 3명으로 가장 많은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했다. kt가 한 시즌에 복수의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배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NC(양의지 박민우)와 키움(김하성 이정후)가 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두산은 3년 연속 외국인 선수가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첫 번째 구단이 됐다. 롯데, 삼성, SK, 한화 등 7~10위는 ‘들러리 신세였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