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바이든 "군대는 최후의 수단…외교전문가에 권한 부여"
입력 2020-12-09 09:17  | 수정 2020-12-16 10:0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현지시간으로 오늘(8일) 미국의 군대는 하나의 도구이자 최후의 수단일 뿐이라면서 외교관이 주도하는 외교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직면한 각종 위협과 과제에 대해 힘과 무력을 앞세우는 대신 대화와 타협을 중시하는 외교적 해법에 방점을 두겠다는 기조를 피력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는 미국의 주도권 회복과 동맹 복원에 노력하겠다는 뜻도 재확인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날 미국 매체 애틀랜틱에 기고한 '내가 왜 국방장관에 로이드 오스틴을 선택했는가'라는 글에서 4성 장군을 지낸 오스틴 전 중부사령부 사령관을 국방장관에 지명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대외정책 구상의 일단을 드러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우리는 오스틴처럼 군대는 국가 안보의 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을 강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우리는 모든 도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그와 나는 군대를 최후의 수단으로만 활용하고 외교관과 전문가들이 외교정책을 주도하도록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약속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우리가 오늘 직면한 위협은 10년 전, 심지어 5년 전 직면한 것과도 똑같지 않다"며 "우리는 과거의 전쟁과 계속 싸우지 않고 미래의 도전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외교로서 주도하고 동맹을 재활성화하는 외교 정책을 구축해야 한다"며 "회의 테이블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되돌리고, 전염병 대유행에서 기후변화, 핵 확산에서 난민 위기까지 세계가 글로벌 위협에 대처하도록 결집시켜야 한다"고 미국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오스틴 지명자가 자신의 신념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를 "미국은 힘의 본보기가 아니라 본보기의 힘으로 주도할 때 가장 강력하다"는 말로 표현했습니다.


미국 대통령이나 당선인이 인선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언론에 기고문을 보내는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이를 두고 현행법상 국방장관을 맡으려면 퇴역 후 7년이 지나야 하지만 2016년 퇴역한 오스틴의 경우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자격 논란이 빚어진 상황 탓 아니냐는 관측이 있습니다.

이 규정의 적용을 면제받으려면 의회 승인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이 승인을 받은 이는 1950년 조지 마셜, 2017년 짐 매티스 국방장관 등 2명밖에 없을 정도로 사례가 드뭅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오스틴 지명자가 상원 인준 청문회를 통과하면 미 역사상 최초의 흑인 국방장관이 된다는 점을 부각하면서 "국가가 직면한 막대하고 긴급한 위협과 도전을 생각할 때 신속한 인준이 필요하다"고 의회의 협력을 호소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