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바디, 비대면 헬스케어 사업 모델 발굴·경쟁력 강화
입력 2020-12-03 14:32 

올 겨울 코로나 재확산이 커지고 있습니다. 늘어난 확진자 추세가 쉽사리 줄어들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도 강화된 2단계에 접어들며,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과 비대면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여전히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헬스케어 시장에서 비대면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운동시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건강을 관리하고 측정해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들을 언택트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다방면으로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인바디는 인바디밴드2(스마트밴드), 웨어러블을 통해 다양한 언택트(비대면)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3년연속, 비대면 공공형 건강관리서비스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손목밴드형 활동량계와 모바일 앱을 활용해 대상자의 건강정보(걸음 수, 이동거리, 소모 칼로리, 심박 수 등)를 의사, 간호사, 코디네이터, 운동전문가, 영양사 등이 6개월 동안 확인해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인바디 웨어러블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개인별 생체, 활동 데이터를 활용해서 각 지자체 보건소에서 전문가들이 대상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반기에는 신규사업으로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기존 중·장년층에서 다양한 연령층으로 수요대상이 확대되며 제품이 각 연령층, 대상자에 맞게 최적화되어 제공되고 있습니다.

지자체, 노인복지관, 요양원 시장에서도 제품 및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노년층에 중요한 근육량(근감소증) 관리, 댁내 그리고 집 주변에서 활동하는 평소 생활습관(활동량 및 소모칼로리) 등을 모니터링하고 개인별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서 프로그램 운영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의 항목들도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각 분야의 전문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SI 사업들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GPS 기반 운동데이터 수집, 분석 전문기업 ㈜비글, IOT기반 환경정보 측정, 분석 전문기업인 케이웨더㈜와 함께 BIK컨소시엄을 시작으로 IoT 기반 스마트산림복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을 통해 스마트밴드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산림치유 활동 전·후 체성분, 활동량, 심박수, 수면 분석 등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관련 데이터를 산림복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제공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별 데이터가 수집되고 주변 기상환경과 함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게 됩니다. 현재 고객들은 시설 내에서 스마트밴드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추후에는 시설이 아니더라도 개인 집 또는 주변에서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인바디 관계자는 비대면, 노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개인의 생체데이터 수집 및 활용에 대한 관심 및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도 인바디 장비를 통한 지속적인 개인별 생체 데이터 수집, 모니터링,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인바디 App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 및 프로그램에서도 만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