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경련 긴급진단 "한국 이대로 가면 7년 후엔 일본을…"
입력 2020-12-03 11:10  | 수정 2020-12-10 11:35

우리나라가 지금처럼 수출을 유지할 경우 7년 후에는 일본을 추월해 세계 5위 수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오는 5일 무역의 날을 맞아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한국 위상 변화와 수출국 순위 상승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전경련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977년 수출 100억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20위 수출국으로 진입한 한국은 이후 42년간 수출이 연평균 9.96% 늘었다.
그 결과 지난해에는 수출 5418억달러,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 2.9%로 7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수출 5000억달러 달서 이후 7년 만인 2018년엔 미국과 독일, 중국, 네덜란드,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7번째로 수출 6000억달러 고지를 밟았다.
무엇보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전세계 경제가 침체된 상황에서 다른 선진국에 비해 한국은 수출 감소세가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세계 교역 규모가 작년 동기 대비 12.9% 감소(IMF 기준 수출 -13.5%·수입 -12.4%)한 가운데 우리나라 수출도 11.3% 줄었다.
하지만 세계 20대 수출국이 평균 14.2% 감소한 것을 고려할 때 선방한 수치다. 독일, 일본과 비교해도 각각 4.2%포인트, 2.7%포인트 적게 감소했다.
전경련은 이런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한국이 세계 수출국 5위권에 진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세계 5위 수출국인 일본과 한국의 수출액 차이는 1637억 달러로, 세계시장 점유율은 한국이 0.7%포인트 낮았다.
하지만 한국 수출이 2010년대 성장세(연평균 1.68%)를 유지할 경우 수출경쟁력 약화가 뚜렷한 일본을 추월해 7년 후 세계 5위 수출국이 될 수 있다고 전경련은 전망했다.
한국은 반도체, 석유제품, 자동차, 선박류 등 15대 주력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한 가운데 차세대 반도체·바이오헬스·전기자동차 등 14개 신성장 품목 비중은 지난해 22.6%까지 늘었다.
전경련 국제협력실 김봉만 실장은 "세계 5위 수출국으로의 진입 시기 단축을 위해선 공세적 통상정책 전개가 필요하다"면서 "한국의 TPP 가입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