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 증상 발생하면 치매위험 50% 증가한다"
입력 2020-12-02 10:12  | 수정 2020-12-09 10:36

인지기능이 정상이여도 환자 스스로 우울감과 기억력 감퇴를 느낀다면 치매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50%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66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9~2011년 건강검진을 받은 57만971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기존 의료계에서는 환자 스스로 기억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하지만 검사 시 정상 범주인 경우를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라고 했지만 이번 연구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에 따르면 66세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 환자의 치매 위험은 일반인보다 38% 높았다. 특히, 우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위험도가 50%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더불어 인지능력 저하를 심하게 느낄수록 치매 위험도 같이 상승했다. 이는 결국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가 단순히 환자의 개인적 느낌이 아니라 실제로도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명 교수는 직접 "이 결과는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느끼는 사람이 우울 증상을 함께 느낀다면 치매 조기 검진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됐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