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변비 오래 놔두면 치핵으로 악화
입력 2020-12-01 14:48 

변비가 장시간 이어지면, 심한 경우 치핵이 생기기도 한다. 치핵은 항문관에 있는 혈관뭉치(혈관총)가 내부 혈액순환 장애로 충혈되면서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흔히 치질이라고도 하는 데, 치질은 항문에 생기는 질환의 총칭으로 치질 중 치핵이 가장 흔하다. 치질에는 치루, 치열 등의 질환도 포함된다.
치핵의 대표적인 원인은 변비다. 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배변을 할 때 과하게 힘을 주는 일이 반복되면서 복압이 올라가 항문부의 혈액순환을 방해, 충혈에 이르게 하는 것. 또 수험생이나 사무직 근로자들처럼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는 것도 혈액 순환을 방해해 충혈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여성은 임신이나 출산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혈관이 압박돼 발생하기도 하고, 음주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겨울에 증상이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는데 성인의 경우 과음이 잦고 추운 날씨 탓에 운동량이 줄며, 두껍고 꽉 끼는 옷을 주로 입다보니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게 원인이다.

치핵 예방의 시작은 식습관 개선이다.
건국대병원 외과 성무경 교수는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많이 해야 한다. 따뜻한 물로 좌욕을 자주하는 것도 치핵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무경 교수는 "변기에 오래 앉아서 신문이나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 수험생처럼 장시간 한자리에 계속 앉아 있는 습관, 지나친 음주는 꼭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눈다. 약물치료는 연고나 좌제 형태의 국소용이나 혈류개선제 같은 먹는(경구용)약물을 사용한다. 성무경 교수는 "약물치료는 일시적 효과는 있지만 완치까지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수술적 치료로는 치핵 절제술이 대표적이지만 최근에는 원형문합기를 이용하는 치핵고정술식도 많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