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정부, 부처에서 `중국산 드론 퇴출` 추진
입력 2020-11-30 13:54 

일본이 각 부처 등에서 사용하는 드론의 교체 작업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산을 배제하고 자국 제품을 조달 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중국 제품이 주로 활용돼 왔는데, 정보유출 가능성과 보안을 이유로 중국 제품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요미우리 신문은 30일 일본 정부가 각 부처·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1000대 이상의 드론에 대해 내년 부터 보안성이 높은 새 기종으로 순차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범죄조사, 중요 인프라 점검, 기밀 정보 등을 다루는 분야, 인명 구조 등에 활용되는 드론에 대해서는 '중요업무'로 분류하고 사이버공격 등에 대응기능 있는 드론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드론을 조달할 때는 총리직속의 내각관방의 평가를 받도록 의무화한다. 이 같은 절차는 정보유출을 염려해 사실상 중국산 드론을 배제하기위한 것이라는 게 요미우리의 분석이다. 일본 정부가 올 초 방위성·경찰청을 제외한 부처에 대해 드론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중국 기업인 '다장 (DJI)' 제품이었다. 이들 제품은 지도제작, 시설관리, 측량, 구명·구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국제 대신할 제품으로 보안성이 높은 자국산 제품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NTT도코모, 자율제어시스템연구소 등 5개사 연합은 정부 위탁사업으로 고도의 암호통신 기술이 적용된 드론 개발에 착수해 이를 내년 양산할 계획이다.
[도쿄 = 김규식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