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하위 40%만 소득 악화…고소득층은 더 늘어 양극화 `최악`
입력 2020-11-19 11:59  | 수정 2020-11-19 12:54

올해 3분기 코로나19 재확산에 정부의 추경 예산 집행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이 줄어들었다. 반면 고소득층 가구의 소득은 오히려 늘어나면서 계층 간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반면 5분위(상위 20%) 가구의 소득은 1039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과 가구원수 등을 반영해 5분위와 1분위의 격차를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88배로 지난해 3분기 4.66배보다 수치가 높아졌다. 상·하위 계층 간 소득분배가 악화됐다는 뜻이다.
3분기에는 1분위와 함께 2분위 가구의 소득도 337만6000원으로 전년대비 1.3% 감소하며 하위 40%의 가구 소득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분위(473만1000원)와 4분위(638만1000원)의 소득은 각각 0.1%와 2.8% 증가하며 저소득층과의 격차가 벌어진 원인으로 작용했다.
1분위는 정부의 지원금 등이 포함된 이전소득이 76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지만 근로소득이 55만3000원으로 10.7%나 줄고, 사업소득 역시 27만6000만원으로 8.1% 줄면서 전체적으로 소득이 감소했다. 코로나 재확산 여파에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하고, 음식·숙박업 등 대면 서비스 중심의 업황 부진 영향으로 사업소득도 악화됐다. 1분위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보다 이전소득이 훨씬 더 높아 코로나 충격을 지원금으로 간신히 버틴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5분위는 근로소득이 743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0.6%로 소폭 감소했지만 사업소득과 이전소득 증가로 총소득은 오히려 늘었다.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장과 상용직 취업자 증가로 다른 분위보다 코로나 영향을 적게 받은 것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에 시장소득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추경 신속집행 등 정부 정책 노력으로 시장소득 감소를 상당부분 보완했다면서도 저소득층 시장소득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며 분배가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현 소득·분배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위기가구 긴급 생계지원,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민생지원 대책을 4분기에 차질 없이 집행한다는 방침이다.
3분기 전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0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지만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각각 전년 대비 1.1%와 1.0%씩 감소했다. 근로소득 감소율은 3분기 기준 2003년 이후 가장 큰 폭이다. 반면 이전소득은 17.1% 증가했는데, 특히 정부의 지원금이 포함되는 공적 이전소득이 29.5% 급증해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3분기에는 코로나 재확산으로 대변 서비스 사업을 중심으로 소비지출이 감소하며 월평균 가계지출이 398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다. 코로나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식료품, 가구, 가전 등 지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교통, 오락·문화, 교육 등 대면이 불가피한 서비스업 중심으로 지출이 감소했다. 평균소비성향은 69.1%로 전년 동기 대비 3.2%포인트 하락했다.
[전경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